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삼품(正三品)

[요약정보]

시대조선(朝鮮)
대분류관직
중분류품계
소분류품계

[품계]

정3품(正三品)

[상세내용]

조선시대 제5위의 품계(品階)이다. 상계를 당상관(堂上官), 하계를 당하관(堂下官)이라 하고 당상관 동반(東班) 문관(文官)의 품계는 통정대부(通政大夫), 서반(西班) 무관(武官)의 품계는 절충장군(折衝將軍)이고, 종친(宗親)은 명선대부(明善大夫), 의빈(儀賓)은 봉순대부(奉順大夫)이다. 내명부(內命婦)에 소용(昭容)이 있었으며, 외명부(外命婦)에는 현주(縣主), 종친 처는 신부인(愼夫人), 문무관 처는 숙부인(淑夫人)이 있었다.

당하관(堂下官) 동반은 통훈대부(通訓大夫), 서반은 어모장군(禦侮將軍), 종친은 창선대부(彰善大夫), 의빈은 정순대부(正順大夫)가 있었다. 외명부의 종친 처는 신인(愼人), 문무관 처는 숙인(淑人)이 있었다. 1865년(고종 2) 대전회통(大典會通)에서 종친과 의빈의 품계는 동반의 문산계에 합하였다.

정삼품(正三品) 당상관의 관직으로는 종친부(宗親府)의 도정(都正)‧정(正), 의빈부(儀賓府)의 부위(副尉)‧첨위(僉尉), 돈녕부(敦寧府)의 도정(都正), 기로소(耆老所)의 기로소당상(耆老所堂上), 종친부‧충훈부(忠勳府)‧비변사(備邊司)의 유사당상(有司堂上), 비변사의 구관당상(句管堂上)‧공시당상(貢市堂上), 관상감(觀象監)의 금루당상(禁漏堂上), 사역원(司譯院)의 사학훈도당상(四學訓導堂上), 비변사(備邊司)의 부제조(副提調), 중추부(中樞府)의 첨지사(僉知事), 준천사(濬川司)‧주교사(舟橋司)의 도청(都廳), 이조(吏曹)‧호조(戶曹)‧예조(禮曹)‧병조(兵曹)‧형조(刑曹)‧공조(工曹)의 참의(參議), 병조의 참지(參知), 규장각(奎章閣)의 직제학(直提學), 교서관(校書館)의 부제조, 승정원(承政院)의 도승지(都承旨)‧좌승지(左承旨)‧우승지(右承旨)‧좌부승지(左副承旨)‧우부승지(右副承旨)‧동부승지(同副承旨), 장례원(掌隷院)의 판결사(判決事), 사간원(司諫院)의 대사간(大司諫), 경연청(經筵廳)의 참찬관(參贊官), 홍문관(弘文館)의 부제학(副提學),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의 찬선(贊善)‧보덕(輔德)‧겸보덕(兼輔德), 세손강서원(世孫講書院)의 좌유선(左諭善)‧우유선(右諭善), 성균관(成均館)의 대사성(大司成)‧좨주(祭酒), 상서원(尙瑞院)의 정(正), 춘추관(春秋館)의 수찬관(修撰官), 승문원(承文院)의 부제조, 사옹원(司饔院)의 부제조, 내의원(內醫院)의 부제조, 상의원(尙衣院)의 부제조, 훈련원(訓鍊院)의 도정, 선전관청(宣傳官廳)의 선전관(宣傳官), 전옥서(典獄署)의 부제조, 훈련도감(訓鍊都監)의 별장(別將)‧국별장(局別將)‧천총(千摠), 금위영(禁衛營)의 별장‧기사장(騎士將)‧천총, 어영청(御營廳)의 별장‧별후부천총(別後部千摠)‧천총‧기사장, 총융청(摠戎廳)의 천총‧진영장(鎭營將), 북한산성(北漢山城)의 관성장(管城將), 경리청(經理廳)의 관성장, 호위청(扈衛廳)의 별장, 수어청(守禦廳)의 중군‧별장‧진영장, 관리영(管理營)의 중군‧천총‧별장‧종사관(從事官), 진무영(鎭撫營)의 중군‧종사관‧진영장‧천총, 내시부(內侍府)의 상온(尙醞)이 있었다.

외직 무관으로 경기‧경상‧전라‧평안도의 병마절제사(兵馬節制使), 평안‧경상도의 병마우후(兵馬虞侯), 8도의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전라도의 수군절제사(水軍節制使), 경기도의 수군중군(水軍中軍), 팔도 수군의 순영중군(巡營中軍)‧진영장(鎭營將), 함경도의 위장(衛將)이 있었다.

정삼품 당하관의 관직으로는 종친부(宗親府)의 정(正), 의빈부(儀賓府)의 부위(副尉)‧첨위(僉尉), 돈녕부(敦寧府)의 정(正), 규장각(奎章閣)의 직각(直閣), 교서관(校書館)의 판교(判校), 홍문관(弘文館)의 직제학(直提學), 예문관(藝文館)의 직제학, 세손강서원(世孫講書院)의 좌유선(左諭善)‧우유선(右諭善), 춘추관(春秋館)의 편수관(編修官), 승문원(承文院)의 판교(判校), 통례원(通禮院)의 좌통례(左通禮)‧우통례(右通禮), 봉상시(奉常寺)의 정, 종부시(宗簿寺)의 정, 사옹원(司饔院)의 정‧제거(提擧), 내의원(內醫院)의 정, 상의원(尙衣院)의 정, 사복시(司僕寺)의 정, 군기시(軍器寺)의 정, 사섬시(司贍寺)의 정, 군자감(軍資監)의 정, 장악원(掌樂院)의 정, 관상감(觀象監)의 정, 전의감(典醫監)의 정, 사역원(司譯院)의 정, 오위(五衛)의 상호군(上護軍), 훈련원(訓鍊院)의 정, 선전관청(宣傳官廳)의 선전관(宣傳官), 선공감(繕工監)의 정, 사도시(司䆃寺)의 정, 사재감(司宰監)의 정, 제용감(濟用監)의 정, 내자시(內資寺)의 정, 내섬시(內贍寺)의 정, 예빈시(禮貧寺)의 정, 총리영(摠理營)의 별효장(別驍將)‧종사관(從事官)‧중군(中軍), 내시부(內侍府)의 상다(尙茶)가 있었다.

외직문관(外職文官)으로 8도 20목(二十牧:여주‧파주‧양주‧충주‧청주‧공주‧홍주‧상주‧진주‧성주‧나주‧제주‧광주‧능주‧황주‧해주‧원주‧길주‧안주‧정주)의 목사(牧使), 안동(安東)‧강릉(江陵)‧영변(寧邊)‧안변(安邊)의 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가 있었다.

[별칭]

-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집필자]

이재옥(李載玉)
수정일 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을 통해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