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전수(典需)

[요약정보]

시대조선(朝鮮)
대분류관직
중분류동반
소분류문관

[품계]

정5품(正五品)

[상세내용]

조선시대 내수사(內需司)에 딸린 정오품(正五品) 관직으로 정원은 1원이었다.

내수사는 궁중의 미곡(米穀)‧포목‧잡품(雜品) 및 노비 등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던 관청으로, 1466년(세조 12)에 내수소(內需所)가 내수사로 개칭되고 공식기구로서의 직제를 갖추었다. 내수사 소속의 내노비에게는 과중한 신공이 요구되었다. 1801년(순조 1)에 내노비의 노비원부(奴婢原簿)가 불태워졌으나, 내수사는 폐지되지 않다가, 고종 때 없어졌다.

경국대전의 직제에 의하면 전수는 별좌(別坐:正‧從五品) 1원, 부전수(副典需:從六品) 1원, 별제(別提:正‧從六品) 1원, 전회(典會:從七品) 1원, 전곡(典穀:從八品) 1원, 전화(典貨:從九品) 2원 등의 관원과 서제(書題:胥吏) 20명을 거느렸다.

내수사의 실무관원으로는 가장 품계가 높은 관직으로, 부전수와 함께 내수사의 정직(正職)이었고, 무록관(無祿官)인 별좌와 서로 교대하여 임명되었다. 왕실의 사유재산을 관리하고 노비를 거느렸기 때문에 내관(內官)이 겸하도록 하였으며, 품계에 비하여 비중 있는 자리였다. 동반에 속하였지만 내관이었기 때문에 성종 이후에는 조회 때 서반의 열에 섰다.

[별칭]

-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집필자]

이재옥(李載玉)
수정일 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을 통해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