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자헌대부(資憲大夫)

[요약정보]

시대조선(朝鮮)
대분류관계
중분류동반
소분류문관

[품계]

정2품(正二品)

[상세내용]

조선시대 정이품(正二品) 동서반(東西班) 문무관(文武官)에게 주던 품계(品階)이다. 정이품의 하계(下階)로서 정헌대부(正憲大夫)보다 아래 자리이다. 경국대전(經國大典) 이후로 문무관에게만 주다가, 대전회통(大典會通)에서는 종친(宗親:임금의 4대손까지의 친족)과 의빈(儀賓:임금의 사위)에게도 이 품계를 주었다.

해당 관직으로는 종친부(宗親府)의 군(君)‧지종정경(知宗正卿), 의정부(議政府)의 좌참찬(左參贊)‧우참찬(右參贊), 충훈부(忠勳府)의 군(君), 의빈부(儀賓府)의 위(尉), 돈녕부(敦寧府)‧중추부(中樞府)‧의금부(義禁府)‧경연청(經筵廳)‧성균관(成均館)‧춘추관(春秋館)‧훈련원(訓練院)의 지사(知事), 홍문관(弘文館)‧예문관(藝文館)의 대제학(大提學), 규장각(奎章閣)의 제학(提學), 육조(六曹)의 판서(判書), 한성부(漢城府)의 판윤(判尹),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의 좌빈객(左賓客)‧우빈객(右賓客), 수원부(水原府)‧광주부(廣州府)의 유수(留守),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의 도총관(都摠官), 제언사(堤堰司)‧비변사(備邊司)‧선혜청(宣惠廳)‧준천사(濬川司)‧교서관(校書館)‧승문원(承文院)‧봉상시(奉常寺)‧종부시(宗簿寺)‧사옹원(司饔院)‧내의원(內醫院)‧상의원(尙衣院)‧사복시(司僕寺)‧군기시(軍器寺)‧사섬시(司贍寺)‧군자감(軍資監)‧장악원(掌樂院)‧관상감(觀象監)‧전의감(典醫監)‧사역원(司譯院)‧훈련원(訓練院)‧선공감(繕工監)‧수성금화사(修城禁火司)‧사도시(司䆃寺)‧사재감(司宰監)‧전함사(典艦司)‧전연사(典涓司)‧소격서(昭格署)‧종묘서(宗廟署)‧사직서(社稷署)‧경모궁(景慕宮)‧제용감(濟用監)‧평시서(平市署)‧전생서(典牲署)‧내자시(內資寺)‧내섬시(內贍寺)‧예빈시(禮賓寺)‧전설사(典設司)‧장흥고(長興庫)‧빙고(氷庫)‧장원서(掌苑署)‧사포서(司圃署)‧사축서(司畜署)‧조지서(造紙署)‧혜민서(惠民署)‧도화서(圖畵署)‧활인서(活人署)‧와서(瓦署)‧귀후서(歸厚署)‧문소전(文昭殿)‧연은전(延恩殿)‧영희전(永禧殿)‧화령전(華寧殿)‧장생전(長生殿)‧훈련도감(訓鍊都監)‧양향청(糧餉廳)‧금위영(禁衛營)‧어영청(御營廳)의 제조(提調), 용호영(龍虎營)의 별장(別將), 총리영(總理營)‧수어청(守禦廳)의 사(使) 등이 있었다.

돈녕부‧중추부지사를 제외한 지사, 양관대제학, 도총관, 좌우빈객, 제학, 제조, 총리영‧수어청사는 모두 예겸(例兼)하였다. 처(妻)에게는 정부인(貞夫人)의 작호(爵號)가 주어졌다.

[별칭]

-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집필자]

이재옥(李載玉)
수정일 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을 통해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