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관호(申觀浩)
[지방관] 조선후기 지방관 경상도(慶尙道) 삼도수군통제사겸경상우도수군절도사(三道水軍統制使兼慶尙右道水軍節度使) 1861[신유(辛酉)] 1월(正月)
[인물요약]
UCI | G002+AKS-KHF_12C2E0D5CCFFFFB1810X0 | ||
개명(改名) | 신헌(申櫶) | ||
자(字) | 국빈(國賓) | ||
호(號) | 금당(琴堂) | ||
호(號) | 동양(東陽) | ||
호(號) | 우석(于石)【補】(주1)
|
||
시호(諡號) | 장숙(壯肅)【補】(주2)
|
||
문무구분 | 무관 | ||
생년 | 경오(庚午) 1810년(순조 10) | ||
졸년 | 갑신(甲申)【補】(주3)
|
||
시대 | 조선후기 | ||
본관 | 평산(平山) | ||
활동분야 | 관료 |


[관련정보]
[관인정보]
관직명칭 | 삼도수군통제사겸경상우도수군절도사(三道水軍統制使兼慶尙右道水軍節度使) |
관직등급 | 통제사(統制使) |
관직이칭 | 통곤(統梱) |
관청소재 | 고성(固城) |
현대지명 | 고성군(固城郡) |
군현기타 | 통제사겸우수사(統制使兼右水使) |
부임년월 | 1861
[신유(辛酉) 1월(正月)] |
[도 정보]
도명칭 | 경상도(慶尙道) |
[주 1] | 호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호를 추가.
|
|
[주 2] | 시호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시호를 추가.
|
|
[주 3] | 졸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
[출전]
『팔도총록(八道總錄)』(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57-가527])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1-10-31 | 『팔도총록(八道總錄)』(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57-가527])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