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태채(趙泰采)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우의정(右議政)
[인물요약]
UCI | G002+AKS-KHF_13C870D0DCCC44B1660X0 |
자(字) | 유량(幼亮) |
호(號) | 이우당(二憂堂) |
시호(諡號) | 충익(忠翼) |
문무구분 | 문관 |
생년 | 경자(庚子) 1660년(현종 1) 11월 9일 진시(辰時) |
졸년 | 임인(壬寅) 1722년(경종 2) 11월 5일 화(禍) |
시대 | 조선중기 |
왕대 | 숙종(肅宗) |
본관 | 양주(楊州) |
활동분야 | 관료 |
항목 | 우의정(右議政) |


[관련정보]
[관인정보]
제수년월 | 1717
[정유(丁酉)] 행공조판서(行工曹判書) 배(拜) |
[품관 정보]
품관 | 정1품 |
[과거 정보]
과거 | 숙종(肅宗) 병인별(丙寅別) |
[관력 정보]
관직 | 우의정(右議政) |
[가족 관계]
부 | 조희석(趙禧錫) |
숙부 | 조사석(趙師錫) |
[비고]
비고 | 이유(李濡) 복(卜) 삭복환배(削卜還拜: 재상의 자리를 빼앗겼다가 다시 임명됨) : 숙종을유복상(肅宗乙酉卜相) 병술삭복(丙戌削卜) 지정유시배상(至丁酉始拜相) 거정부불구(居政府不久: 정부에 오래 있지 못함) : 1년 혹은 8~9개월, 5~6개월, 2~3개월에 불과[幷不過一年 或八九朔 或五六朔 或二三朔] |
[출전]
『청선고(淸選考)』(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603])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1-10-31 | 『청선고(淸選考)』(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603])를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