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시열(宋時烈)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좌의정(左議政)
[인물요약]
UCI | G002+AKS-KHF_13C1A1C2DCC5F4B1607X0 |
자(字) | 영보(英甫) |
호(號) | 우암(尤庵) |
시호(諡號) | 문정(文正) |
문무구분 | 문관 |
생년 | 정미(丁未) 1607년(선조 40) 11월 12일 술시(戌時) |
졸년 | 기사(己巳) 1689년(숙종 15) 6월 8일 화(禍) |
시대 | 조선중기 |
왕대 | 현종(顯宗) |
본관 | 은진(恩津) |
활동분야 | 관료 |
항목 | 좌의정(左議政) |


[관련정보]
[관인정보]
제수년월 | 1668
[무신(戊申)] 우찬성(右贊成) 배3(拜三) 치(致) |
[품관 정보]
품관 | 정1품 |
[과거 정보]
과거 | 생장(生壯) |
[관력 정보]
관직 | 좌의정(左議政) |
[가족 관계]
부 | 송갑조(宋甲祚) |
조부 | 송응기(宋應期) |
증조부 | 송구수(宋龜壽) |
[비고]
비고 | 정태화(鄭太和) 복(卜) 향년80이상(享年八十以上: 80세 이상 장수함) : 83(八十三) 미등제이배(未登第而拜: 대과에 급제하지 못했으나 임명) 거정부불구(居政府不久: 정부에 오래 있지 못함) : 장유(張維), 송시열(宋時烈), 민진장(閔鎭長), 윤증(尹拯), 권상하(權尙夏), 최규서(崔奎瑞), 조경(趙璥)은 모두 숙배(肅拜)와 사은(謝恩)의 공무를 행하지 못함[俱不肅謝行公] 상신치사(相臣致仕: 재상으로 나이가 많아서 벼슬을 사양하고 물러남) |
[기타]
기타 | 학행(學行) |
[출전]
『청선고(淸選考)』(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603])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1-10-31 | 『청선고(淸選考)』(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603])를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