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태화(鄭太和)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영의정(領議政)

[인물요약]

UCIG002+AKS-KHF_13C815D0DCD654B1602X0
자(字)유춘(囿春)
호(號)양파(陽坡)
시호(諡號)익헌(翼憲)
문무구분문관
생년임인(壬寅) 1602년(선조 35) 1월 20일 신시(申時)
졸년계축(癸丑) 1673년(현종 14) 10월 8일
시대조선중기
왕대인조(仁祖)
본관동래(東萊)
활동분야관료
항목영의정(領議政)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문과] 인조(仁祖) 6년(1628) 무진(戊辰) 별시2(別試2) 병과(丙科) 7위(12/14)
[진사] 인조(仁祖) 2년(1624) 갑자(甲子)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9위(39/100)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비변사(備邊司)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비변사(備邊司)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비변사(備邊司)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비변사(備邊司)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비변사(備邊司)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비변사(備邊司)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비변사(備邊司)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비변사(備邊司)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비변사(備邊司)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비변사(備邊司)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비변사(備邊司)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비변사(備邊司)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비변사(備邊司)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비변사(備邊司)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승정원승지(承政院承旨)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호조참판(戶曹參判)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사인(舍人)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비변사제조(備邊司提調)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비변사부제조(備邊司副提調)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이조판서(吏曹判書)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이조참판(吏曹參判)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이조전랑(吏曹銓郞)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호조판서(戶曹判書)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선혜청제조(宣惠廳提調)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예조판서(禮曹判書)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세자시강원빈객(世子侍講院賓客)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세자시강원설서(世子侍講院說書)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동지성균관사(同知成均館事)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세자시강원사(世子侍講院師)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세자시강원부(世子侍講院傅)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승정원도승지(承政院都承旨)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홍문관(弘文館)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동벽(東壁)
[지방관] 조선중기 지방관 충청도(忠淸道) 충청도관찰사(忠淸道觀察使) 1637[정축(丁丑)]
[지방관] 조선중기 지방관 경상도(慶尙道)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 1642[임오(壬午)]
[지방관] 조선중기 지방관 평안도(平安道) 평안도관찰사(平安道觀察使) 1640[경진(庚辰)]

[관인정보]

제수년월1649 [기축(己丑)] 이조판서(吏曹判書) 배4(拜四) 기복불취(起復不就: 어버이 상중이어서 나아가지 않음)

[품관 정보]

품관정1품

[과거 정보]

과거인조(仁祖) 무진별(戊辰別)

[관력 정보]

관직영의정(領議政)

[가족 관계]

정광성(鄭廣成)
조부정창연(鄭昌衍)

[비고]

비고김자점(金自點) 복(卜)
소년입각(少年入閣: 젊어서 재상이 됨) : 48(四十八)
부자연상(父子連相: 부자가 연이어 재상이 됨) : 2세입상(二世入相) 자 정재숭(鄭載嵩)
[상신(相臣)] 형제(兄弟) : 제(弟) 정치화(鄭致和)
거정부최구(居政府最久: 정부에 오래 머물러 있음) : 22년(二十二年)
상신종좌강하(相臣從座降下: 재상의 재임에 따라서 자리가 내려감) : 효종(孝宗) 경인(庚寅)에 정태화(鄭太和)가 다시 재상에 임명되어[重卜] 좌의정 조익(趙翼)은 우의정이 되었음[降右議政], 효종(孝宗) 신묘(辛卯)에 정태화(鄭太和)가 다시 재상에 임명되어[重卜] 영의정 김육(金堉)은 좌의정이 되었고[降左議政] 좌의정 이시백(李時白)은 우의정이 되었음[降右議政], 효종(孝宗) 기해(己亥)에 정태화(鄭太和)가 다시 재상에 임명되어[重卜] 영의정 심지원(沈之源)이 좌의정이 되었고[降左議政] 좌의정 원두표(元斗杓)가 우의정이 되었음[降右議政]
상신기복(相臣起復: 재상으로 어버이의 상중에 벼슬자리에 나아감) : 나아가지 않음[不起]

[출전]

『청선고(淸選考)』(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603])
수정일수정내역
2011-10-31『청선고(淸選考)』(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603])를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