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행원(李行遠)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우의정(右議政)
[인물요약]
UCI | G002+AKS-KHF_13C774D589C6D0B1592X0 |
자(字) | 사치(士致) |
호(號) | 서화(西華) |
시호(諡號) | 효정(孝貞) |
문무구분 | 문관 |
생년 | 임진(壬辰) 1592년(선조 25) |
졸년 | 무자(戊子) 1648년(인조 26) 4월 16일 |
시대 | 조선중기 |
왕대 | 인조(仁祖) |
본관 | 전의(全義) |
활동분야 | 관료 |
항목 | 우의정(右議政) |


[관련정보]
[관인정보]
제수년월 | 1647
[정해(丁亥)] 병조판서(兵曹判書) 배(拜) |
[품관 정보]
품관 | 정1품 |
[과거 정보]
과거 | 광해군(光海君) 정사별(丁巳別) |
[관력 정보]
관직 | 우의정(右議政) |
[가족 관계]
부 | 이중기(李重基) |
조부 | 이수준(李壽俊) |
증조부 | 이계주(李繼胄) |
[비고]
비고 | 김자점(金自點) 복(卜) [상신(相臣)] 외손(外孫) : 외손 유봉휘(柳鳳輝) [상신(相臣)] 옹서(翁婿: 장인과 사위) : 서(婿) 유상운(柳尙運) 거정부불구(居政府不久: 정부에 오래 있지 못함) : 1년 혹은 8~9개월, 5~6개월, 2~3개월에 불과[幷不過一年 或八九朔 或五六朔 或二三朔] |
[출전]
『청선고(淸選考)』(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603])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1-10-31 | 『청선고(淸選考)』(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603])를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