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항복(李恒福)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영의정(領議政)
[인물요약]
UCI | G002+AKS-KHF_13C774D56DBCF5B1556X0 |
자(字) | 자상(子常) |
호(號) | 백사(白沙) |
시호(諡號) | 문충(文忠) |
문무구분 | 문관 |
생년 | 병진(丙辰) 1556년(명종 11) 10월 15일 자시(子時) |
졸년 | 무오(戊午) 1618년(광해군 10) 5월 13일 |
시대 | 조선중기 |
왕대 | 선조(宣祖) |
본관 | 경주(慶州) |
활동분야 | 관료 |
항목 | 영의정(領議政) |


[관련정보]
[관인정보]
제수년월 | 1598
[무술(戊戌)] 병조판서(兵曹判書) 배4(拜四) |
[품관 정보]
품관 | 정1품 |
[과거 정보]
과거 | 선조(宣祖) 경진알(庚辰謁) |
[관력 정보]
관직 | 영의정(領議政) |
[가족 관계]
부 | 이몽량(李夢亮) |
조부 | 이예신(李禮臣) |
증조부 | 이성무(李成茂) |
[비고]
비고 | 윤두수(尹斗壽) 복(卜) 공신(功臣) 2회[二勳] 등과미20년입각(登科未二十年入閣: 문과 급제 후 20년이 안되서 재상이 됨) : 19년(十九年) 소년입각(少年入閣: 젊어서 재상이 됨) : 43(四十三) 전문형이배상(典文衡而拜相: 대제학을 역임하고 재상이 됨) 거정부최구(居政府最久: 정부에 오래 머물러 있음) : 12년(十二年) 상신종좌강하(相臣從座降下: 재상의 재임에 따라서 자리가 내려감) : 선조(宣祖) 경자(庚子)에 정탁(鄭琢)이 다시 재상에 임명되어[重卜] 좌의정 이항복(李恒福)은 우의정이 되었음[降右議政], 광해군(光海君) 신해(辛亥)에 이원익(李元翼)이 다시 재상에 임명되어[重卜] 영의정 이덕형(李德馨)은 좌의정이 되었고[降左議政] 좌의정 이항복(李恒福)은 우의정이 되었음[降右議政] 경호당이배상(經湖堂而拜相: 독서당을 지내고 재상이 됨) 상신경도체찰사(相臣經都體察使: 재상을 지내고 도체찰사가 됨) 상신피선(相臣被選: 재상에 선발 되었음) 청백리(淸白吏) |
[출전]
『청선고(淸選考)』(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603])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1-10-31 | 『청선고(淸選考)』(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603])를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