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명렬(尹命烈)
[문과] 정조(正祖) 19년(1795) 을묘(乙卯) 정시(庭試) 병과(丙科) 10위(13/24)
[인물요약]
UCI | G002+AKS-KHF_13C724BA85B82CB1762X0 | ||
자(字) | 언국(彦國)(주1)
|
||
호(號) | 석유(石囿)【補】(주2)
|
||
시호(諡號) | 충헌(忠憲)【補】(주3)
|
||
생년 | 임오(壬午) 1762년 (영조 38) | ||
졸년 | 임진(壬辰)(주4)
|
||
향년 | 71세 | ||
합격연령 | 34세 | ||
본인본관 | 해평(海平) | ||
거주지 | 한성([京]) |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 24명 [甲1・乙2・丙21] | ||
전력 | 유학(幼學) | ||
관직 | 이조참판(吏曹參判) | ||
문과시제 | 어제(御題) 부(賦):후직지손 실유대왕(后稷之孫實維大王) | ||
부모구존 | 자시하(慈侍下)【補】 | ||
생부모구존 | 자시하(慈侍下)(주5)
|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윤면동(尹冕東)
품계 : 절충장군(折衝將軍)
관직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주6)
【補】
품계 : 절충장군(折衝將軍)
관직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주6)
부관직 |
『숭정3을묘추합6경경과정시문무과전시방목(崇禎三乙卯秋合六慶慶科庭試文武科殿試榜目)』(일본 도요분코(東洋文庫)[Ⅶ-2-26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 관직을 추가. |
[생부(生父)]
성명 :
윤기동(尹紀東)
품계 : 통덕랑(通德郞)(주7)
【補】
품계 : 통덕랑(通德郞)(주7)
생부관직 |
『숭정3을묘추합6경경과정시문무과전시방목(崇禎三乙卯秋合六慶慶科庭試文武科殿試榜目)』(일본 도요분코(東洋文庫)[Ⅶ-2-26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생부 관직을 추가. |
[조부(祖父)]
성명 :
윤득일(尹得一)
[증조부(曾祖父)]
성명 :
윤상명(尹商明)
[외조부(外祖父)]
성명 :
홍치협(洪致協)(주8)
본관 : 남양(南陽[唐])【補】
외조부 |
『매산집(梅山集)』 卷之37, 墓碣銘, [증좌찬성 윤공묘갈명(贈左贊成尹公墓碣銘)]을 참고하여 외조부 본관을 추가. |
본관 : 남양(南陽[唐])【補】
[생외조부(生外祖父)]
성명 :
이정하(李靖夏)【補】(주9)
본관 : 광주(廣州)【補】
생외조부 |
『매산집(梅山集)』 卷之37, 墓碣銘, [증좌찬성 윤공묘갈명(贈左贊成尹公墓碣銘)]을 참고하여 생외조부를 추가. |
본관 : 광주(廣州)【補】
[처부(妻父)]
성명 :
김원주(金元柱)[生]【補】(주10)
본관 : 경주(慶州)【補】
처부 |
『매산집(梅山集)』 卷之37, 墓碣銘, [증좌찬성 윤공묘갈명(贈左贊成尹公墓碣銘)]을 참고하여 처부를 추가. |
본관 : 경주(慶州)【補】
[안항(鴈行)]
본생가 형(兄) :
윤영렬(尹永烈)【補】
본생가 형(兄) : 윤병렬(尹秉烈)【補】
본생가 서제(庶弟) : 윤제열(尹悌烈)【補】(주11)
본생가 형(兄) : 윤병렬(尹秉烈)【補】
본생가 서제(庶弟) : 윤제열(尹悌烈)【補】(주11)
안항 |
『숭정3을묘추합6경경과정시문무과전시방목(崇禎三乙卯秋合六慶慶科庭試文武科殿試榜目)』(일본 도요분코(東洋文庫)[Ⅶ-2-26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생부 안항을 추가. |
[출전]
『국조방목(國朝榜目)』 卷之十八(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貴11655])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貴11655])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2014-08-21 | 『숭정3을묘추합6경경과정시문무과전시방목(崇禎三乙卯秋合六慶慶科庭試文武科殿試榜目)』(일본 도요분코(東洋文庫)[Ⅶ-2-26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모 구존, 생부 구존, 부 관직, 생부 관직, 생부 안항을 추가하였습니다. |
2019-10-30 |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