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효극(閔孝克)
[문과] 영조(英祖) 51년(1775) 을미(乙未) 정시4(庭試4) 병과(丙科) 6위(10/16)
[인물요약]
UCI | G002+AKS-KHF_13BBFCD6A8ADF9B1740X0 | ||
자(字) | 성능(聖能) | ||
생년 | 경신(庚申) 1740년 (영조 16) | ||
졸년 | 정미(丁未)(주1)
|
||
향년 | 48세 | ||
합격연령 | 36세 | ||
본인본관 | 여흥(驪興) | ||
거주지 | 풍덕(豊德)【補】(주2)
|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 16명 [甲1・乙3・丙12] | ||
전력 | 유학(幼學)(주3)
|
||
문과시제 | 어제(御題) 부(賦):일인원양만방이정(一人元良萬邦以貞) | ||
부모구존 | 영감하(永感下)(주4)
|
[가족사항]
[부(父)]
성명 :
민찬(閔襸)
품계 : 통덕랑(通德郞)(주5)
【補】
품계 : 통덕랑(通德郞)(주5)
부관직 |
『을미12월11일왕세손청정경과정시(乙未十二月十一日王世孫聽政慶科庭試)』(개인)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 관직을 추가. |
[생부(生父)]
성명 :
민위(閔褘)
품계 :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 : 동복현감(同福縣監)
관직 : 순천진관병마절제도위(順天鎭管兵馬節制都尉)(주6)
【補】
품계 :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 : 동복현감(同福縣監)
관직 : 순천진관병마절제도위(順天鎭管兵馬節制都尉)(주6)
생부관직 |
『을미12월11일왕세손청정경과정시(乙未十二月十一日王世孫聽政慶科庭試)』(개인)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생부 관직을 추가. |
[조부(祖父)]
성명 :
민계기(閔季基)
품계 : 통덕랑(通德郞)(주7)
품계 : 통덕랑(通德郞)(주7)
조부 관직 |
『을미12월11일왕세손청정경과정시(乙未十二月十一日王世孫聽政慶科庭試)』(개인)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조부 관직을 추가. |
[증조부(曾祖父)]
성명 :
민임(閔㶵)[生](주8)
품계 :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 : 형조정랑(刑曹正郞)(주9)
증조부 |
『여흥민씨족보(驪興閔氏族譜)』(2004)를 참고하여 증조부를 “민초(閔焦)”에서 “민임(閔㶵)”으로 수정. |
품계 :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 : 형조정랑(刑曹正郞)(주9)
증조부 관직 |
『을미12월11일왕세손청정경과정시(乙未十二月十一日王世孫聽政慶科庭試)』(개인)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증조부 관직을 추가. |
[외조부(外祖父)]
성명 :
유박(柳搏)
품계 :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 : 대흥군수(大興郡守)
관직 : 홍주진관병마동첨절제사(洪州鎭管兵馬同僉節制使)(주10)
본관 : 진주(晉州[移])【補】
품계 :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 : 대흥군수(大興郡守)
관직 : 홍주진관병마동첨절제사(洪州鎭管兵馬同僉節制使)(주10)
외조부 관직 |
『을미12월11일왕세손청정경과정시(乙未十二月十一日王世孫聽政慶科庭試)』(개인)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외조부 관직, 본관을 추가. |
본관 : 진주(晉州[移])【補】
[처부(妻父)]
성명 :
이규백(李奎白)
관직 : 유학(幼學)(주11)
본관 : 경주(慶州)【補】
관직 : 유학(幼學)(주11)
처부 관직 |
『을미12월11일왕세손청정경과정시(乙未十二月十一日王世孫聽政慶科庭試)』(개인)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처부 관직, 본관을 추가. |
본관 : 경주(慶州)【補】
[안항(鴈行)]
[출전]
『국조방목(國朝榜目)』 卷之十七(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貴11655])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貴11655])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2011-05-16 | 인물사전과 문과 단회방목을 참고하여 본관을 여흥(驪興)으로 추가하였습니다. |
2013-11-08 | 『여흥민씨족보(驪興閔氏族譜)』(2004)를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하고, 증조부를 수정하였습니다. |
2013-11-08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하였습니다. |
2013-11-21 | 『을미12월11일왕세손청정경과정시(乙未十二月十一日王世孫聽政慶科庭試)』(개인)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모 구존, 부・생부・조부・증조부・외조부・처부 관직, 안항을 추가하였습니다. |
2019-10-30 |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