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도호(林道浩)
[문과] 영조(英祖) 51년(1775) 을미(乙未) 정시4(庭試4) 갑과(甲科) 1[壯元]위(01/16)
[인물요약]
UCI | G002+AKS-KHF_13C784B3C4D638B1735X0 |
자(字) | 자유(子由) |
생년 | 을묘(乙卯) 1735년 (영조 11) |
합격연령 | 41세 |
본인본관 | 나주(羅州) |
거주지 | 한성([京]) |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 16명 [甲1・乙3・丙12] | ||
전력 | 유학(幼學) | ||
문과시제 | 어제(御題) 부(賦):일인원양만방이정(一人元良萬邦以貞) | ||
부모구존 | 영감하(永感下)(주1)
|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임상구(林象九)
품계 : 봉렬대부(奉列大夫)
관직 : 행한성부주부(行漢城府主簿)(주2)
【補】
품계 : 봉렬대부(奉列大夫)
관직 : 행한성부주부(行漢城府主簿)(주2)
부관직 |
『을미12월11일왕세손청정경과정시(乙未十二月十一日王世孫聽政慶科庭試)』(개인)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 관직을 추가. |
[조부(祖父)]
성명 :
임세양(林世讓)[生]
품계 :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 : 행선공감부정(行繕工監副正)(주3)
품계 :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 : 행선공감부정(行繕工監副正)(주3)
조부 관직 |
『을미12월11일왕세손청정경과정시(乙未十二月十一日王世孫聽政慶科庭試)』(개인)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조부 관직을 추가. |
[증조부(曾祖父)]
성명 :
임굉유(林宏儒)
증직 : 증가선대부 이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부총관(贈嘉善大夫吏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副摠管)
품계 : 행봉정대부(行奉正大夫)
관직 : 청암도찰방(靑巖道察訪)(주4)
증직 : 증가선대부 이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부총관(贈嘉善大夫吏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副摠管)
품계 : 행봉정대부(行奉正大夫)
관직 : 청암도찰방(靑巖道察訪)(주4)
증조부 관직 |
『을미12월11일왕세손청정경과정시(乙未十二月十一日王世孫聽政慶科庭試)』(개인)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증조부 관직을 추가. |
[외조부(外祖父)]
성명 :
최상진(崔尙震)
품계 :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 : 행연기현감(行燕岐縣監)
관직 : 공주진관병마절제도위(公州鎭管兵馬節制都尉)(주5)
본관 : 해주(海州)【補】
품계 :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 : 행연기현감(行燕岐縣監)
관직 : 공주진관병마절제도위(公州鎭管兵馬節制都尉)(주5)
외조부 관직 |
『을미12월11일왕세손청정경과정시(乙未十二月十一日王世孫聽政慶科庭試)』(개인)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외조부 관직, 본관을 추가. |
본관 : 해주(海州)【補】
[처부(妻父)]
성명 :
신유(申曘)
품계 :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 : 행비안현감(行比安縣監)
관직 : 안동진관병마절제도위(安東鎭管兵馬節制都尉)(주6)
본관 : 평산(平山)【補】
품계 :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 : 행비안현감(行比安縣監)
관직 : 안동진관병마절제도위(安東鎭管兵馬節制都尉)(주6)
처부 관직 |
『을미12월11일왕세손청정경과정시(乙未十二月十一日王世孫聽政慶科庭試)』(개인)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처부 관직, 본관을 추가. |
본관 : 평산(平山)【補】
[안항(鴈行)]
형(兄) :
임달호(林達浩)【補】
형(兄) : 임진호(林進浩)【補】
제(弟) : 임원호(林遠浩)【補】(주7)
형(兄) : 임진호(林進浩)【補】
제(弟) : 임원호(林遠浩)【補】(주7)
안항 |
『을미12월11일왕세손청정경과정시(乙未十二月十一日王世孫聽政慶科庭試)』(개인)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
[출전]
『국조방목(國朝榜目)』 卷之十七(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貴11655])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貴11655])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2011-05-16 | 문과 단회방목을 참고하여 본관을 나주(羅州)로 추가하였습니다. |
2013-11-21 | 『을미12월11일왕세손청정경과정시(乙未十二月十一日王世孫聽政慶科庭試)』(개인)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모 구존, 부・조부・증조부・외조부・처부 관직, 안항을 추가하였습니다. |
2019-10-30 |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