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방(鄭枋)
[문과] 영조(英祖) 29년(1753) 계유(癸酉)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4위(14/36)
[인물요약]
UCI | G002+AKS-KHF_12C815BC29FFFFB1707X0 | ||
자(字) | 계직(季直)(주1)
|
||
호(號) | 삼청재(三淸齋)【補】(주2)
|
||
시호(諡號) | 효헌(孝憲)【補】(주3)
|
||
생년 | 정해(丁亥) 1707년 (숙종 33) | ||
졸년 | 기유(己酉)(주4)
|
||
향년 | 83세 | ||
합격연령 | 47세 | ||
본인본관 | 영일(迎日[知]) | ||
거주지 | 창평(昌平)【補】(주5)
|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 36명 [甲3・乙7・丙26] |
전력 | 유학(幼學) |
관직 | 공조판서(工曹判書) |
문과시제 | 어제(御題) 부(賦):정태양출입(定太陽出入) |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정민하(鄭敏河)
[조부(祖父)]
성명 :
정흡(鄭潝)
[생조부(生祖父)]
성명 :
정즙(鄭濈)
[증조부(曾祖父)]
성명 :
정광연(鄭光演)
[외조부(外祖父)]
성명 :
이운익(李雲翊)(주6)
본관 : 전주(全州)【補】
외조부 |
『성담집(性潭集)』 卷之27, 諡狀, [판서 정공시장(判書鄭公諡狀)]과 『영일정씨문청공파세보(迎日鄭氏文淸公派世譜)』(2012) 권3, [13쪽]을 참고하여 외조부 본관을 추가. |
본관 : 전주(全州)【補】
[처부(妻父)]
성명 :
양대하(梁大厦)
본관 : 제주(濟州)【補】
본관 : 제주(濟州)【補】
[처부(妻父)2]
성명 :
정태규(鄭泰逵)
본관 : 진양(晉陽)【補】
본관 : 진양(晉陽)【補】
[처부(妻父)3]
[안항(鴈行)]
형(兄) :
정근(鄭根)[生]【補】
형(兄) : 정환(鄭桓)【補】
형(兄) : 정박(鄭檏)【補】
형(兄) : 정률(鄭㮚)[進]【補】
형(兄) : 정백(鄭栢)【補】
제(弟) : 정표(鄭杓)【補】
제(弟) : 정억(鄭檍)【補】
서제(庶弟) : 정걸(鄭杰)【補】
서제(庶弟) : 정동(鄭棟)【補】
서제(庶弟) : 정오(鄭梧)【補】(주8)
형(兄) : 정환(鄭桓)【補】
형(兄) : 정박(鄭檏)【補】
형(兄) : 정률(鄭㮚)[進]【補】
형(兄) : 정백(鄭栢)【補】
제(弟) : 정표(鄭杓)【補】
제(弟) : 정억(鄭檍)【補】
서제(庶弟) : 정걸(鄭杰)【補】
서제(庶弟) : 정동(鄭棟)【補】
서제(庶弟) : 정오(鄭梧)【補】(주8)
안항 |
『영일정씨문청공파세보(迎日鄭氏文淸公派世譜)』(2012) 권3, [13~23쪽]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
[가족과거]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十五(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2016-07-15 | 『성담집(性潭集)』 卷之27, 諡狀, [판서 정공시장(判書鄭公諡狀)]과 『영일정씨문청공파세보(迎日鄭氏文淸公派世譜)』(2012) 권3, [13~23쪽]을 참고하여 호, 시호, 졸년, 외조부 본관, 처부1・2・3 본관, 안항을 추가하였습니다. |
2019-10-30 |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