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찬(吳瓚)
[문과] 영조(英祖) 27년(1751) 신미(辛未) 춘당대시(春塘臺試) 갑과(甲科) 1[壯元]위(01/10)
[인물요약]
UCI | G002+AKS-KHF_12C624CC2CFFFFB1717X0 | ||
자(字) | 경부(敬夫) | ||
생년 | 정유(丁酉) 1717년 (숙종 43) | ||
졸년 | 신미(辛未)(주1)
|
||
향년 | 35세 | ||
합격연령 | 35세 | ||
본인본관 | 해주(海州) | ||
거주지 | 미상(未詳) |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 10명 [甲1・乙2・丙7] |
전력 | 통덕랑(通德郞) |
관직 |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 |
문과시제 | 어제(御題) 부(賦):효제야자기위인지본(孝悌也者其爲仁之本) |
기타 | 상서동궁극언의리지미신계발합달 청토광억지죄찬삼수 시년졸우적소(上書東宮極言義理之未伸繼發合達請討光億之罪竄三水是年卒于謫所) |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오이주(吳履周)
[생부(生父)]
[조부(祖父)]
[증조부(曾祖父)]
[생증조부(生曾祖父)]
성명 :
오상(吳翔)
[외조부(外祖父)]
[생외조부(生外祖父)]
[처부(妻父)]
[안항(鴈行)]
본생가 형(兄) :
오원(吳瑗)[文]【補】
본생가 제(弟) : 오완(吳琬)【補】
본생가 제(弟) : 오관(吳瓘)【補】
본생가 제(弟) : 오찬(吳璨)【補】
본생가 서제(庶弟) : 오무(吳珷)【補】(주3)
본생가 제(弟) : 오완(吳琬)【補】
본생가 제(弟) : 오관(吳瓘)【補】
본생가 제(弟) : 오찬(吳璨)【補】
본생가 서제(庶弟) : 오무(吳珷)【補】(주3)
안항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
[주 1] | 졸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
|
[주 2] | 생외조부 : 『대구서씨세보(大丘徐氏世譜)』(1979) 丙編上, [91쪽]을 참고하여 생외조부를 추가.
|
|
[주 3] | 안항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十五(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2019-10-30 |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