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중(李台重)
[문과] 영조(英祖) 6년(1730) 경술(庚戌) 정시(庭試) 병과(丙科) 14위(18/20)
[인물요약]
UCI | G002+AKS-KHF_13C774D0DCC911B1694X0 | ||
자(字) | 자삼(子三) | ||
생년 | 갑술(甲戌) 1694년 (숙종 20) | ||
졸년 | 병자(丙子)(주1)
|
||
향년 | 63세 | ||
합격연령 | 37세 | ||
본인본관 | 한산(韓山) | ||
거주지 | 결성(結城)【補】(주2)
|
[이력사항]
선발인원 | 20명 [甲1・乙3・丙16] | ||
전력 | 진사(進士) | ||
관직 | 제학(提學) | ||
관직 | 호조판서(戶曹判書) | ||
문과시제 | 어제(御題) 전(箋):의본조찬수청진선조보감잉청극근극경계술선왕지지덕휴양선왕지홍렬(擬本朝纂修廳進先朝寶鑑仍請克勤克敬繼述先王之至德休揚先王之洪烈) | ||
타과 | 1717년(숙종 43) 정유(丁酉)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3등(三等) 53위 | ||
부모구존 | 영감하(永感下)(주3)
|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이병철(李秉哲)
품계 : 통덕랑(通德郞)
관직 : 행익릉참봉(行翼陵參奉)(주4)
【補】
품계 : 통덕랑(通德郞)
관직 : 행익릉참봉(行翼陵參奉)(주4)
부관직 |
『경술정시문무방목(庚戌庭試文武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B13LB-27])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 관직을 추가. |
[조부(祖父)]
성명 :
이행(李涬)
[증조부(曾祖父)]
[외조부(外祖父)]
성명 :
박태상(朴泰尙)
본관 : 미상(未詳)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
성명 :
박도원(朴道源)
본관 : 미상(未詳)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2]
성명 :
권감(權瑊)
본관 : 미상(未詳)
본관 : 미상(未詳)
[안항(鴈行)]
형(兄) :
이화중(李華重)【補】
제(弟) : 이기중(李箕重)[生]【補】
제(弟) : 이형중(李衡重)【補】
제(弟) : 이상중(李商重)【補】(주5)
제(弟) : 이기중(李箕重)[生]【補】
제(弟) : 이형중(李衡重)【補】
제(弟) : 이상중(李商重)【補】(주5)
안항 |
『경술정시문무방목(庚戌庭試文武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B13LB-27])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十五(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2012-06-22 | 『경술정시문무방목(庚戌庭試文武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B13LB-27])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하였습니다. |
2019-10-30 |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