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좌(李台佐)
[문과] 숙종(肅宗) 25년(1699) 기묘(己卯) 정시(庭試) 병과(丙科) 3위(06/17)
[인물요약]
UCI | G002+AKS-KHF_13C774D0DCC88CB1660X0 | ||
자(字) | 국언(國彦) | ||
호(號) | 아곡(鵝谷)【補】(주2)
|
||
시호(諡號) | 충정(忠定) | ||
생년 | 경자(庚子) 1660년 (현종 1) | ||
졸년 | 기미(己未)(주3)
|
||
향년 | 80세 | ||
합격연령 | 40세 | ||
본인본관 | 경주(慶州) | ||
거주지 | 한성([京])【補】(주1)
|
[이력사항]
선발인원 | 17명 [甲1・乙2・丙14] | ||
전력 | 빙고별제(氷庫別提) | ||
관직 | 의정부좌의정(議政府左議政) | ||
관직 | 우의정(右議政)(주4)
|
||
관직 | 홍문관리(弘文館吏) | ||
문과시제 | 표(表):의송소식청추환수환절등지명장래방등지여구례범유관연유사여지류종검약(擬宋蘓軾請追還收還浙燈之命將來放燈只如舊例凡游觀宴游賜予之類從儉約) | ||
타과 | 1684년(숙종 10) 갑자(甲子)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3등(三等) 48위 |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이세필(李世弼)
[조부(祖父)]
[증조부(曾祖父)]
성명 :
이정남(李井男)
[외조부(外祖父)]
[처부(妻父)]
[안항(鴈行)]
제(弟) :
이정좌(李鼎佐)【補】(주5)
제(弟) : 이형좌(李衡佐)【補】(주6)
제(弟) : 이경좌(李景佐)【補】(주7)
제1 |
『경주이씨대동보(慶州李氏大同譜)』(1978) 권2, 66쪽. 李世弼-李台佐 참고. |
제(弟) : 이형좌(李衡佐)【補】(주6)
제2 |
『경주이씨대동보(慶州李氏大同譜)』(1978) 권2, 66쪽. 李世弼-李台佐 참고. |
제(弟) : 이경좌(李景佐)【補】(주7)
제3 |
『경주이씨대동보(慶州李氏大同譜)』(1978) 권2, 66쪽. 李世弼-李台佐 참고. |
[가족과거]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十三(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2019-10-30 |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