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택현(沈宅賢)
[문과] 숙종(肅宗) 25년(1699) 기묘(己卯) 정시(庭試) 을과(乙科) 2[探花]위(03/17)
[인물요약]
UCI | G002+AKS-KHF_13C2ECD0DDD604B1674X0 | ||
자(字) | 여규(汝揆) | ||
시호(諡號) | 청헌(淸獻)【補】(주1)
|
||
생년 | 갑인(甲寅) 1674년 (현종 15) | ||
졸년 | 병진(丙辰) 1736년 (영조 12) | ||
향년 | 63세 | ||
합격연령 | 26세 | ||
본인본관 | 청송(靑松) | ||
거주지 | 한성([京])【補】(주2)
|
[이력사항]
선발인원 | 17명 [甲1・乙2・丙14] |
전력 | 진사(進士) |
관직 | 옥당(玉堂) |
관직 | 이조판서(吏曹判書) |
문과시제 | 표(表):의송소식청추환수환절등지명장래방등지여구례범유관연유사여지류종검약(擬宋蘓軾請追還收還浙燈之命將來放燈只如舊例凡游觀宴游賜予之類從儉約) |
타과 | 1699년(숙종 25) 기묘(己卯)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3등(三等) 52위 |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심속(沈涑)
[조부(祖父)]
성명 :
심약명(沈若溟)
[증조부(曾祖父)]
[외조부(外祖父)]
[처부(妻父)]
성명 :
이한익(李漢翼)[進](주3)
본관 : 전주(全州)【補】
처부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급제 기록에는 처부가 "이한익(李漢翊)"으로 나오는데, 『지수재집(知守齋集)』 卷之11, 墓誌, [이조판서 심공묘지명(吏曹判書沈公墓誌銘)]에 "夫人李氏 系出璿源 成均進士贈吏曹判書漢翼女 議政府舍人藼孫"으로 "이훤(李藼)"의 아들은 "이한익(李漢翼)"임. |
본관 : 전주(全州)【補】
[안항(鴈行)]
형(兄) :
심계현(沈啓賢)【補】
제(弟) : 심최현(沈最賢)【補】
제(弟) : 심몽현(沈夢賢)【補】
제(弟) : 심득현(沈得賢)[生]【補】
제(弟) : 심태현(沈泰賢)[文](주4)
제(弟) : 심최현(沈最賢)【補】
제(弟) : 심몽현(沈夢賢)【補】
제(弟) : 심득현(沈得賢)[生]【補】
제(弟) : 심태현(沈泰賢)[文](주4)
안항 |
『기묘식년사마방목(己卯式年司馬榜目)』(고려대학교 도서관[만송B8 A1 1699])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
[가족과거]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十三(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2019-10-30 |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