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건(金汝鍵)
[문과] 숙종(肅宗) 13년(1687) 정묘(丁卯)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6위(09/39)
[인물요약]
| UCI | G002+AKS-KHF_13AE40C5ECAC74B1660X0 | ||
| 자(字) | 천개(天開) | ||
| 생년 | 경자(庚子) 1660년 (현종 1) | ||
| 졸년 | 정축(丁丑)(주1) 
 | ||
| 향년 | 38세 | ||
| 합격연령 | 28세 | ||
| 본인본관 | 의성(義城) | ||
| 거주지 | 안동(安東)【補】(주2) 
 | 
[이력사항]
| 선발인원 | 39명 [甲3・乙7・丙29] | ||
| 전력 | 통덕랑(通德郞) | ||
| 관직 | 홍문관수찬(弘文館修撰) | ||
| 문과시제 | 책문(策問):시(時) | ||
| 타과 | 1687년(숙종 13) 정묘(丁卯)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3등(三等) 12위 | ||
| 부모구존 | 구경하(具慶下)(주3) 
 | 
[가족사항]
[부(父)]
            
성명 :
		김성구(金聲久)[文]
품계 :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 : 전정의현감(前旌義縣監)(주4)
【補】
        
품계 :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 : 전정의현감(前旌義縣監)(주4)
| 부관직 | 
| 『정묘식년용호방목(丁卯式年龍虎榜目)』(청주대학교 중앙도서관[350.48 정378])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 관직을 추가. | 
[조부(祖父)]
[증조부(曾祖父)]
            
성명 :
		김률(金瑮)
        
[외조부(外祖父)]
            
성명 :
		권목(權霂)(주5)
본관 : 안동(安東)【補】
        
| 외조부 | 
| 『옥천집(玉川集)』 卷之12, 墓碣銘, [중직대부 행홍문관수찬 김공묘갈명(中直大夫行弘文館修撰金公墓碣銘)]을 참고하여 외조부 본관을 추가. | 
본관 : 안동(安東)【補】
[처부(妻父)]
            
성명 :
		이휴명(李休命)(주6)
본관 : 광주(廣州)【補】
        
| 처부 | 
| 『옥천집(玉川集)』 卷之12, 墓碣銘, [중직대부 행홍문관수찬 김공묘갈명(中直大夫行弘文館修撰金公墓碣銘)]을 참고하여 처부 본관을 추가. | 
본관 : 광주(廣州)【補】
[안항(鴈行)]
            
제(弟) :
		김여용(金汝鎔)[生]【補】
제(弟) : 김여개[당](金汝鍇[鏜])[進]【補】
제(弟) : 김여전[병](金汝銓[鈵])【補】(주7)
        
제(弟) : 김여개[당](金汝鍇[鏜])[進]【補】
제(弟) : 김여전[병](金汝銓[鈵])【補】(주7)
| 안항 | 
| 『정묘식년용호방목(丁卯式年龍虎榜目)』(청주대학교 중앙도서관[350.48 정378]) 내의 급제 기록, 『밀암집(密菴集)』 卷之21, 行狀, [통정대부 수강원도관찰사 겸 병마수군절도사순찰사 김공행장(通政大夫守江原道觀察使兼兵馬水軍節度使巡察使金公行狀)]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十三(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소장처] 
| 수정일 | 수정내역 | 
|---|---|
| 2005-11-30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 2012-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 2019-10-30 |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추가하였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