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여석(安如石)
[문과] 현종(顯宗) 7년(1666) 병오(丙午)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6위(16/38)
[인물요약]
UCI | G002+AKS-KHF_13C548C5ECC11DB1630X0 | ||
자(字) | 주국(柱國) | ||
생년 | 경오(庚午) 1630년 (인조 8) | ||
졸년 | 을해(乙亥) 1695년 (숙종 21) | ||
향년 | 66세 | ||
합격연령 | 37세 | ||
본인본관 | 순흥(順興)【補】(주1)
|
||
거주지 | 한성([京])【補】(주2)
|
[이력사항]
선발인원 | 38명 [甲3・乙7・丙28] |
전력 | 생원(生員) |
관직 | 병조참판(兵曹參判) |
문과시제 | 표(表):의주소공청불작무익해유익(擬周召公請不作無益害有益) |
타과 | 1666년(현종 7) 병오(丙午)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2등(二等) 15위 |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안수성(安壽星)
[조부(祖父)]
성명 :
안정(安鋥)【補】(주3)
조부 |
『하려집(下廬集)』 卷之17, 行狀, [병조참판 안공행장(兵曹參判安公行狀)]을 참고하여 조부를 "안정(安鋌)"에서 "안정(安鋥)"으로 수정. 안정(安鋌)은 초명임. |
[증조부(曾祖父)]
성명 :
안사인(安士訒)
[외조부(外祖父)]
성명 :
홍득일(洪得一)[文]【補】(주4)
본관 : 남양(南陽[唐])【補】
외조부 |
『하려집(下廬集)』 卷之17, 行狀, [병조참판 안공행장(兵曹參判安公行狀)]을 참고하여 외조부를 추가. |
본관 : 남양(南陽[唐])【補】
[처부(妻父)]
성명 :
최성(崔晠)(주5)
본관 : 강화(江華)【補】
처부 |
『하려집(下廬集)』 卷之17, 行狀, [병조참판 안공행장(兵曹參判安公行狀)]을 참고하여 처부 본관을 추가. 행장에는 최성(崔晟)으로 나옴. |
본관 : 강화(江華)【補】
[안항(鴈行)]
제(弟) :
안여우(安如愚)【補】
제(弟) : 안여악(安如岳)[文](주6)
제(弟) : 안여악(安如岳)[文](주6)
안항 |
『병오식년사마방목(丙午式年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朝26-29-16])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十二(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2009-12-24 | 사마방목과 인물사전의 기록을 참고하여 본관을 순천(順天)에서 순흥(順興)으로 수정하였습니다. |
2016-01-06 | 『병오식년사마방목(丙午式年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朝26-29-16])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 안항을 추가하였습니다. |
2016-01-06 | 『하려집(下廬集)』 卷之17, 行狀, [병조참판 안공행장(兵曹參判安公行狀)]을 참고하여 외조부, 처부 본관을 추가하였습니다. |
2019-10-30 |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