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두헌(吳斗憲)
[문과] 현종(顯宗) 6년(1665) 을사(乙巳) 별시(別試) 병과(丙科) 4위(08/13)
[인물요약]
UCI | G002+AKS-KHF_13C624B450D5CCB1622X0 | ||
자(字) | 춘장(春章) | ||
생년 | 임술(壬戌) 1622년 (광해군 14) | ||
합격연령 | 44세 | ||
본인본관 | 해주(海州) | ||
거주지 | 한성([京])【補】(주1)
|
[이력사항]
선발인원 | 13명 [甲1・乙3・丙9] | ||
전력 | 직장(直長) | ||
관직 | 세자시강원필선(世子侍講院弼善) | ||
관직 |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 | ||
문과시제 | 논(論):수성난어창업(守成難於創業) | ||
타과 | 1657년(효종 8) 정유(丁酉)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2등(二等) 7위 | ||
부모구존 | 구경하(具慶下)(주2)
|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오빈(吳䎙)[文]
품계 : 통정대부(通政大夫)
관직 : 전행부평도호부사(前行富平都護府使)(주3)
【補】
품계 : 통정대부(通政大夫)
관직 : 전행부평도호부사(前行富平都護府使)(주3)
부관직 |
『강희4년10월25일별시문무과방목(康熙四年十月二十五日別試文武科榜目)』(경상대학교 문천각[古(오림)B13LB 예75ㄱ])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 관직을 추가. |
[조부(祖父)]
성명 :
오사겸(吳士謙)
[증조부(曾祖父)]
성명 :
오정방(吳定邦)
[외조부(外祖父)]
성명 :
정효준(鄭孝俊)
본관 : 미상(未詳)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
성명 :
최곤심(崔滾心)
본관 : 미상(未詳)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2]
성명 :
이진(李溍)
본관 : 미상(未詳)
본관 : 미상(未詳)
[안항(鴈行)]
제(弟) :
오두선(吳斗宣)【補】
제(弟) : 오두성(吳斗宬:異完)【補】
서제(庶弟) : 오두망(吳斗望)【補】(주4)
제(弟) : 오두성(吳斗宬:異完)【補】
서제(庶弟) : 오두망(吳斗望)【補】(주4)
안항 |
『강희4년10월25일별시문무과방목(康熙四年十月二十五日別試文武科榜目)』(경상대학교 문천각[古(오림)B13LB 예75ㄱ])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十二(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2014-12-08 | 『강희4년10월25일별시문무과방목(康熙四年十月二十五日別試文武科榜目)』(경상대학교 문천각[古(오림)B13LB 예75ㄱ])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 부모 구존, 부 관직, 안항을 추가하였습니다. |
2019-10-30 |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