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이후(柳以厚)
[문과] 효종(孝宗) 2년(1651) 신묘(辛卯)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16위(26/33)
[인물요약]
UCI | G002+AKS-KHF_13C720C774D6C4B1604X0 | ||
자(字) | 재이(載而) | ||
호(號) | 죽헌(竹軒)【補】(주1)
|
||
생년 | 갑진(甲辰) 1604년 (선조 37) | ||
졸년 | 정유(丁酉)(주2)
|
||
향년 | 54세 | ||
합격연령 | 48세 | ||
본인본관 | 문화(文化) | ||
거주지 | 죽산(竹山)【補】(주3)
|
[이력사항]
선발인원 | 33명 [甲3・乙7・丙23] | ||
전력 | 생원(生員) | ||
관직 | 예조좌랑(禮曹佐郞) | ||
관직 | 예조정랑(禮曹正郞) | ||
문과시제 | 표(表):주주공진무일편(周周公進無逸篇) | ||
타과 | 1639년(인조 17) 기묘(己卯)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3등(三等) 22위 | ||
부모구존 | 엄시하(嚴侍下)(주4)
|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유정신(柳鼎新)[進]
과거 : 성균진사(成均進士)(주5)
【補】
과거 : 성균진사(成均進士)(주5)
부관직 |
『신묘식년9월22일문과방목(辛卯式年九月二十二日文科榜目)』(성균관대학교 존경각[B13KB-0037])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 관직을 추가. |
[조부(祖父)]
[증조부(曾祖父)]
[외조부(外祖父)]
성명 :
최진(崔晉)【補】(주7)
본관 : 전주(全州)【補】
외조부 |
『문화류씨족보(文化柳氏族譜)』(1864)를 참고하여 외조부를 추가. 『문화류씨족보(文化柳氏族譜)』(1689)에는 외조부가 "최진(崔溍)"으로 나옴. |
본관 : 전주(全州)【補】
[처부(妻父)]
[안항(鴈行)]
제(弟) :
유이명(柳以明)【補】
제(弟) : 유이구(柳以久)【補】(주9)
서형(庶兄) : 유이화(柳以華)【補】
서형(庶兄) : 유이기(柳以起)【補】(주10)
제(弟) : 유이구(柳以久)【補】(주9)
안항 |
『신묘식년9월22일문과방목(辛卯式年九月二十二日文科榜目)』(성균관대학교 존경각[B13KB-0037])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
서형(庶兄) : 유이화(柳以華)【補】
서형(庶兄) : 유이기(柳以起)【補】(주10)
안항2 |
『문화류씨족보(文化柳氏族譜)』(1689)를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문화류씨족보』(1689)에서 以華, 以起, 以植은 서자로 기록되어 있음. 『신묘식년문과방목(辛卯式年文科榜目)』(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고)349.16 문과신])에는 以華, 以起만 庶兄으로, 柳以植은 없음. |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十一(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2012-06-15 | 『신묘식년9월22일문과방목(辛卯式年九月二十二日文科榜目)』(성균관대학교 존경각[B13KB-0037])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하였습니다. |
2013-04-26 | 『문화류씨세보(文化柳氏世譜)』(1926)를 참고하여 호, 졸년을 추가하였습니다. |
2013-04-30 | 『신묘식년9월22일문과방목(辛卯式年九月二十二日文科榜目)』(성균관대학교 존경각[B13KB-0037])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 관직을 추가하였습니다. |
2013-05-31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조부 유덕종(柳德種)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증조부를 추가하였습니다. |
2013-09-17 | 『신묘식년9월22일문과방목(辛卯式年九月二十二日文科榜目)』(성균관대학교 존경각[B13KB-0037])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모 구존, 안항을 추가하였습니다. |
2014-02-11 | 『문화류씨족보(文化柳氏族譜)』(1689)를 참고하여 외조부, 처부를 추가하였습니다. |
2019-10-30 |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