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호석(姜好奭)
[문과] 효종(孝宗) 2년(1651) 신묘(辛卯)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2[榜眼]위(02/33)
[인물요약]
[이력사항]
선발인원 | 33명 [甲3・乙7・丙23] | ||
전력 | 통덕랑(通德郞)(주4)
|
||
관직 | 함안군수(咸安郡守) | ||
관직 | 예안현감(禮安縣監)(주5)
|
||
문과시제 | 표(表):주주공진무일편(周周公進無逸篇) | ||
타과 | 1635년(인조 13) 을해(乙亥) 증광시(增廣試) 진사(進士) 3등(三等) 18위 | ||
부모구존 | 영감하(永感下)(주6)
|
[가족사항]
[부(父)]
성명 :
강칙(姜侙)[生]
과거 : 성균생원(成均生員)(주7)
【補】
과거 : 성균생원(成均生員)(주7)
부관직 |
『신묘식년9월22일문과방목(辛卯式年九月二十二日文科榜目)』(성균관대학교 존경각[B13KB-0037]) 내의 급제 기록에는 “성균진사”로 적혀 있다. 그러나 부 강칙(姜侙)이 합격한 『만력34년병오9월초10일증광사마방목(萬曆三十四年丙午九月初十日增廣司馬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想白古351.306-B224s-1576])을 보면 생원에 합격하였고, 강호석 본인이 합격한 『숭정8년을해10월초4일증광사마방목(崇禎八年乙亥十月初四日增廣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6024-127])에 부 관직은 “성균생원(成均生員)”으로 기록되어 있다. 부자의 사마방목을 참고하여 “성균진사”를 “성균생원”으로 수정. |
[조부(祖父)]
[증조부(曾祖父)]
[외조부(外祖父)]
[처부(妻父)]
[주 1] | 생년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국조방목(國朝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貴11655]),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 『숭정8년을해10월초4일증광사마방목(崇禎八年乙亥十月初四日增廣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6024-127]), 『신묘식년9월22일문과방목(辛卯式年九月二十二日文科榜目)』(성균관대학교 존경각[B13KB-0037])에는 생년이 "을사(乙巳)"(1605)로,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6024-6])에는 "을축(乙丑)"(1625)으로 나옴. 『진산강씨족보(晉山姜氏族譜)』(1784)에는 을사로 나옴. |
|
[주 2] | 졸년 : 『진주강씨관서대장군공파족보(晉州姜氏關西大將軍公派族譜)』(2007)를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
|
[주 3] | 거주지 : 『신묘식년9월22일문과방목(辛卯式年九月二十二日文科榜目)』(성균관대학교 존경각[B13KB-0037])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
|
[주 4] | 전력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국조방목(國朝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貴11655]),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에는 전력이 “通德”으로,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6024-6])에는 “通”으로,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에는 “通善郞”으로 기록되어 있다. 『신묘식년9월22일문과방목(辛卯式年九月二十二日文科榜目)』(성균관대학교 존경각[B13KB-0037])에는 “通德郞”으로 적혀 있음. |
|
[주 5] | 관직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참고하여 관직 현감을 추가. 『승정원일기』 현종 7년(1666) 11월 17일을 참고하여 군수를 함안군수로 수정. 『승정원일기』 효종 8년(1657) 3월 18일을 참고하여 현감을 예안현감으로 수정.
|
|
[주 6] | 구존 : 『신묘식년9월22일문과방목(辛卯式年九月二十二日文科榜目)』(성균관대학교 존경각[B13KB-0037])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모 구존을 추가.
|
|
[주 7] | 부관직 : 『신묘식년9월22일문과방목(辛卯式年九月二十二日文科榜目)』(성균관대학교 존경각[B13KB-0037]) 내의 급제 기록에는 “성균진사”로 적혀 있다. 그러나 부 강칙(姜侙)이 합격한 『만력34년병오9월초10일증광사마방목(萬曆三十四年丙午九月初十日增廣司馬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想白古351.306-B224s-1576])을 보면 생원에 합격하였고, 강호석 본인이 합격한 『숭정8년을해10월초4일증광사마방목(崇禎八年乙亥十月初四日增廣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6024-127])에 부 관직은 “성균생원(成均生員)”으로 기록되어 있다. 부자의 사마방목을 참고하여 “성균진사”를 “성균생원”으로 수정. |
|
[주 8] | 조부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卷之30, 문관(文官), [강문회(姜文會)의 묘표(墓表)](趙啓遠)를 참고하여 조부를 추가.
|
|
[주 9] | 증조부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에는 고조부로 나옴. 증조부가 맞음. 고조부는 강문회(姜文會)임.
|
|
[주 10] | 외조부 : 『진산강씨족보(晉山姜氏族譜)』(1784)를 참고하여 외조부를 추가.
|
|
[주 11] | 처부 : 『진산강씨족보(晉山姜氏族譜)』(1784)를 참고하여 처부를 추가.
|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十一(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2012-06-15 | 『신묘식년9월22일문과방목(辛卯式年九月二十二日文科榜目)』(성균관대학교 존경각[B13KB-0037])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하였습니다. |
2013-04-30 | 『신묘식년9월22일문과방목(辛卯式年九月二十二日文科榜目)』(성균관대학교 존경각[B13KB-0037])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 관직을 추가하였습니다. |
2013-04-30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참고하여 관직을 추가하였습니다. |
2013-04-30 | 『진주강씨관서대장군공파족보(晉州姜氏關西大將軍公派族譜)』(2007)를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하였습니다. |
2013-05-14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卷之30, 문관(文官), [강문회(姜文會)의 묘표(墓表)](趙啓遠)를 참고하여 조부를 추가하였습니다. |
2013-05-14 | 3종의 문과방목과 문과 단회방목을 참고하여 전력에 각주를 추가하였습니다. |
2013-05-14 | 『승정원일기』 현종 7년 11월 17일(계사)을 참고하여 군수를 함안군수로 수정하였습니다. |
2013-09-17 | 『신묘식년9월22일문과방목(辛卯式年九月二十二日文科榜目)』(성균관대학교 존경각[B13KB-0037])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모 구존을 추가하였습니다. |
2019-10-30 |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