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두인(吳斗寅)
[문과] 인조(仁祖) 27년(1649) 기축(己丑) 별시(別試) 갑과(甲科) 1[壯元]위(01/13)
[인물요약]
UCI | G002+AKS-KHF_13C624B450C778B1624X0 | ||
자(字) | 원징(元徵) | ||
호(號) | 양곡(陽谷) | ||
시호(諡號) | 충정(忠貞) | ||
생년 | 갑자(甲子) 1624년 (인조 2) | ||
졸년 | 기사(己巳) 1689년 (숙종 15) | ||
향년 | 66세 | ||
합격연령 | 26세 | ||
본인본관 | 해주(海州) | ||
거주지 | 한성([京])【補】(주1)
|
[이력사항]
선발인원 | 13명 [甲1・乙3・丙9] |
전력 | 진사(進士) |
관직 | 공조판서(工曹判書) |
문과시제 | 책문(策問):예(禮) |
타과 | 1648년(인조 26) 무자(戊子)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2등(二等) 25위 |
기타 | 기사인현왕후출궁 진신소간이소두국신찬졸우도(己巳仁顯王后出宮縉紳疏諫以疏頭鞫訊竄卒于道) 이충정려입사노량(以忠旌閭立祠露梁) 몽유일무장납자즉유응부위왈대감비구당여오배동귀운(夢有一武將納刺卽兪應孚謂曰大監非久當與吾輩同歸云) 농암찬비(農巖撰碑) 곤륜찬장(昆崙撰狀) 명곡찬지(明谷撰誌) |
[가족사항]
[부(父)]
[생부(生父)]
성명 :
오상(吳翔)
[조부(祖父)]
성명 :
오사겸(吳士謙)
[증조부(曾祖父)]
성명 :
오정방(吳定邦)
[외조부(外祖父)]
[생외조부(生外祖父)]
성명 :
이효길(李孝吉)(주2)
본관 : 전의(全義)【補】
생외조부 |
『호곡집(壺谷集)』 卷之18, 墓碣銘, [사복주부 오공묘갈명(司僕主簿吳公墓碣銘)]과 『해주오씨세보(海州吳氏世譜)』(1771, 국립중앙도서관[古2518-52-91])를 참고하여 생외조부 본관을 추가. |
본관 : 전의(全義)【補】
[처부(妻父)]
[처부(妻父)2]
성명 :
김숭문(金崇文)
본관 : 원주(原州)【補】
본관 : 원주(原州)【補】
[처부(妻父)3]
성명 :
황천(黃梴)[武](주3)
본관 : 상주(尙州)【補】
처부 |
『해주오씨세보(海州吳氏世譜)』(1771, 국립중앙도서관[古2518-52-91])를 참고하여 처부2・3 본관을 추가. 『수곡집(睡谷集)』 卷之16, 諡狀, [형조판서 오공시장(刑曹判書吳公諡狀)]과 족보에는 처부3이 "황연(黃埏)"으로 나옴. |
본관 : 상주(尙州)【補】
[안항(鴈行)]
본생가 형(兄) :
오두흥(吳斗興)【補】
본생가 제(弟) : 오두규(吳斗奎)[進]【補】
본생가 서제(庶弟) : 오두영(吳斗英)【補】
본생가 서제(庶弟) : 오두건(吳斗健)【補】
본생가 서제(庶弟) : 오두필(吳斗弼)【補】
본생가 서제(庶弟) : 오두보(吳斗輔)【補】(주4)
본생가 제(弟) : 오두규(吳斗奎)[進]【補】
본생가 서제(庶弟) : 오두영(吳斗英)【補】
본생가 서제(庶弟) : 오두건(吳斗健)【補】
본생가 서제(庶弟) : 오두필(吳斗弼)【補】
본생가 서제(庶弟) : 오두보(吳斗輔)【補】(주4)
안항 |
『호곡집(壺谷集)』 卷之18, 墓碣銘, [사복주부 오공묘갈명(司僕主簿吳公墓碣銘)]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
[가족과거]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十(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2014-06-19 | 『무자식년사마방목(戊子式年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6024-223])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하였습니다. |
2019-10-30 |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