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처신(孫處愼)
[문과] 인조(仁祖) 24년(1646) 병술(丙戌)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1위(11/34)
[인물요약]
UCI | G002+AKS-KHF_13C190CC98C2E0B1607X0 | ||
자(字) | 사숙(思叔) | ||
호(號) | 서간(西澗)【補】(주1)
|
||
생년 | 정미(丁未) 1607년 (선조 40) | ||
졸년 | 신해(辛亥)(주2)
|
||
향년 | 65세 | ||
합격연령 | 40세 | ||
본인본관 | 안동(安東) | ||
거주지 | 대구(大丘)【補】(주3)
|
[가족사항]
[부(父)]
[조부(祖父)]
성명 :
손덕운(孫德雲)
[증조부(曾祖父)]
성명 :
손세경(孫世經)
[외조부(外祖父)]
성명 :
유흥국(柳興國)【補】(주4)
본관 : 약목(若木)【補】
외조부 |
『문탄선생문집(聞灘先生文集)』(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46-가318]) 권4, 附錄, [묘지(墓誌)]를 참고하여 외조부를 추가. |
본관 : 약목(若木)【補】
[처부(妻父)]
[안항(鴈行)]
형(兄) :
손처각(孫處恪)【補】
제(弟) : 손처항(孫處恒)【補】
제(弟) : 손처업(孫處𢢜)【補】
제(弟) : 손처침(孫處忱)【補】
제(弟) : 손처유(孫處愉)【補】
서제(庶弟) : 손처경(孫處憬)【補】
서제(庶弟) : 손처변(孫處忭)【補】
서제(庶弟) : 손처종(孫處悰)【補】
서제(庶弟) : 손처환(孫處懽)【補】(주6)
제(弟) : 손처항(孫處恒)【補】
제(弟) : 손처업(孫處𢢜)【補】
제(弟) : 손처침(孫處忱)【補】
제(弟) : 손처유(孫處愉)【補】
서제(庶弟) : 손처경(孫處憬)【補】
서제(庶弟) : 손처변(孫處忭)【補】
서제(庶弟) : 손처종(孫處悰)【補】
서제(庶弟) : 손처환(孫處懽)【補】(주6)
안항 |
『임오식년사마방목(壬午式年司馬榜目)』(국사편찬위원회[MF A지수100078])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문탄선생문집(聞灘先生文集)』(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46-가318]) 권4, 附錄, [묘갈명(墓碣銘)](鄭重器)을 참고하여 제 3명(處𢢜・處忱・處愉)과 서제 4명(處憬・處忭・處悰・處懽)을 추가. 문탄선생문집(聞灘先生文集)』(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46-가318]) 권4, 附錄, [묘갈명(墓碣銘)](鄭重器)과 문탄선생문집(聞灘先生文集)』(국립중앙도서관[古3648-38-51-1-2]) 권4, 附錄, [묘갈명(墓碣銘)](鄭重器)이 있다. 이 두 판본의 묘갈명의 내용이 서로 다르다. 배위 설명이 끝나고 자손을 소개하는 부분에서 기록의 차이가 있다. 전자는 전실의 생년과 향년을 설명하고 생산한 3남의 이름이 나오고 부실은 가계 설명이 없이 생산한 7남의 이름이 나온다. 후자는 전실의 소생 3남의 이름과 3남의 자식(손자)을 소개하고 후실의 성관과 부가 나오면서 소생 3남의 이름과 자식(손자)이 나온다. 후자를 참고하여 안항을 수정. |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十(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2016-06-28 | 『일직손씨세고록(一直孫氏世考錄)』(국립중앙도서관[古2517-129])을 참고하여 호, 졸년, 처부를 추가하였습니다. |
2016-06-28 | 『문탄선생문집(聞灘先生文集)』(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46-가318]) 권4, 附錄, [묘지(墓誌)]를 참고하여 외조부, 안항을 추가하였습니다. |
2016-06-28 | 『임오식년사마방목(壬午式年司馬榜目)』(국사편찬위원회[MF A지수100078])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 안항을 추가하였습니다. |
2019-10-30 |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