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선(南銑)
[문과] 인조(仁祖) 7년(1629) 기사(己巳) 별시(別試) 병과(丙科) 1위(07/25)
[인물요약]
[이력사항]
선발인원 | 25(주5)
|
||
전력 | 현감(縣監) | ||
관직 | 이조판서(吏曹判書) | ||
관직 | 7도감사(七道監司) | ||
문과시제 | 책문(策問):체천도(體天道) | ||
타과 | 1606년(선조 39) 병오(丙午) 증광시(增廣試) 진사(進士) 3등(三等) 31위 | ||
기타 | 호곡찬지(壺谷撰誌) 잠곡찬비(潛谷撰碑) 봉안인조실록우강화려차졸(奉安仁祖實錄于江華旅次卒) |
||
부모구존 | 영감하(永感下)(주6)
|
[가족사항]
[부(父)]
성명 :
남복시(南復始)
[조부(祖父)]
성명 :
남맹하(南孟夏)
[증조부(曾祖父)]
[외조부(外祖父)]
[처부(妻父)]
[안항(鴈行)]
형(兄) :
남진(南鎭)[進]【補】
형(兄) : 남석(南錫)【補】(주7)
형(兄) : 남석(南錫)【補】(주7)
안항 |
『숭정기사동황태자탄생별시문과방목(崇禎己巳冬皇太子誕生別試文科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28-11])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
[가족과거]
[주 1] | 자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 내의 급제 기록과 『만력34년병오9월초10일증광사마방목(萬曆三十四年丙午九月初十日增廣司馬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想白古351.306-B224s-1576]) 내의 합격 기록에는 자가 "택지(澤之)"로 나옴.
|
|
[주 2] | 시호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시호를 추가.
|
|
[주 3] | 생년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卷之6, 경재(卿宰), [남선(南銑)의 비명(碑銘)](金堉),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 내의 급제 기록과 『만력34년병오9월초10일증광사마방목(萬曆三十四年丙午九月初十日增廣司馬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想白古351.306-B224s-1576])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생년을 "계미(癸未)"(1583)에서 "임오(壬午)"(1582)로 수정.
|
|
[주 4] | 거주지 : 『만력34년병오9월초10일증광사마방목(萬曆三十四年丙午九月初十日增廣司馬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想白古351.306-B224s-1576])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
|
[주 5] | 등위 : 『숭정2년기사황태자탄생별시[문무과방목](崇禎二年己巳皇太子誕生別試[文武科榜目])』(성균관대학교 존경각[B13KB-0050]) 내의 급제 기록에는 등위가 "병과(丙科) 6위"로 나옴.
|
|
[주 6] | 구존 : 『숭정기사동황태자탄생별시문과방목(崇禎己巳冬皇太子誕生別試文科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28-11])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모 구존을 추가.
|
|
[주 7] | 안항 : 『숭정기사동황태자탄생별시문과방목(崇禎己巳冬皇太子誕生別試文科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28-11])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十(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2014-05-30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卷之6, 경재(卿宰), [남선(南銑)의 비명(碑銘)](金堉),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 내의 급제 기록과 『만력34년병오9월초10일증광사마방목(萬曆三十四年丙午九月初十日增廣司馬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想白古351.306-B224s-1576])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생년을 수정하고, 거주지를 추가하였습니다. |
2019-10-30 |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