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응조(金應祖)
[문과] 인조(仁祖) 1년(1623) 계해(癸亥)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 4위(08/10)
[인물요약]
UCI | G002+AKS-KHF_13AE40C751C870B1587X0 | ||
자(字) | 효징(孝徵) | ||
호(號) | 학사(鶴沙) | ||
생년 | 정해(丁亥) 1587년 (선조 20) | ||
졸년 | 정미(丁未)(주1)
|
||
향년 | 81세 | ||
합격연령 | 37세 | ||
본인본관 | 풍산(豊山) | ||
거주지 | 안동(安東)【補】(주2)
|
[이력사항]
선발인원 | 10명 [甲1・乙3・丙6] | ||
전력 | 생원(生員) | ||
관직 |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 | ||
관직 | 옥당(玉堂) | ||
문과시제 | 잠(箴):신종우시(愼終于始) | ||
타과 | 1613년(광해군 5) 계축(癸丑) 증광시(增廣試) 생원(生員) 2등(二等) 22위 | ||
기타 | 5형제등과(五兄弟登科) |
||
부모구존 | 자시하(慈侍下)(주3)
|
[가족사항]
[부(父)]
성명 :
김대현(金大賢)[生](주4)
품계 : 조봉대부(朝奉大夫)
관직 : 행산음현감(行山陰縣監)(주5)
【補】
부 |
호는 유연당(悠然堂). 『학사집(鶴沙集)』 附錄, [행장(行狀)](李光庭)을 참고. |
품계 : 조봉대부(朝奉大夫)
관직 : 행산음현감(行山陰縣監)(주5)
부관직 |
『천계3년계해5월초2일알성방목(天啓三年癸亥五月初二日謁聖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4652.5-23])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 관직을 추가. |
[조부(祖父)]
[증조부(曾祖父)]
[외조부(外祖父)]
[처부(妻父)]
[안항(鴈行)]
형(兄) :
김봉조(金奉祖)[文]
형(兄) : 김영조(金榮祖)[文]
형(兄) : 김창조(金昌祖)[進]【補】
형(兄) : 김경조(金慶祖)[生]【補】
형(兄) : 김연조(金延祖)[文]
제(弟) : 김염조(金念祖)[生]【補】
제(弟) : 김술조(金述祖)【補】
제(弟) : 김숭조(金崇祖)[文](주10)
형(兄) : 김영조(金榮祖)[文]
형(兄) : 김창조(金昌祖)[進]【補】
형(兄) : 김경조(金慶祖)[生]【補】
형(兄) : 김연조(金延祖)[文]
제(弟) : 김염조(金念祖)[生]【補】
제(弟) : 김술조(金述祖)【補】
제(弟) : 김숭조(金崇祖)[文](주10)
안항 |
『유연당집(悠然堂集)』 卷之4, 附錄, [가장(家狀)](金奉祖)과 『천계3년계해5월초2일알성방목(天啓三年癸亥五月初二日謁聖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4652.5-23])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十(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2016-08-04 | 『학봉집(鶴峯集)』 附錄卷2, 行狀, [행장(行狀)]을 참고하여 처부 본관을 추가하였습니다. |
2019-10-30 |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