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분(李芬)
[문과] 광해군(光海君) 즉위년(1608) 무신(戊申) 별시(別試) 병과(丙科) 9위(13/14)
[인물요약]
UCI | G002+AKS-KHF_12C774BD84FFFFB1566X0 | ||
자(字) | 형보(馨甫) | ||
호(號) | 묵헌(默軒) | ||
생년 | 병인(丙寅) 1566년 (명종 21) | ||
졸년 | 기미(己未) 1619년 (광해군 11) | ||
향년 | 54세 | ||
합격연령 | 43세 | ||
본인본관 | 덕수(德水) | ||
거주지 | 온양(溫陽)【補】(주1)
|
[이력사항]
선발인원 | 14명 [甲1・乙3・丙10] |
전력 | 좌랑(佐郞) |
관직 | 병조좌랑(兵曹佐郞) |
문과시제 | 책문(策問):주치(酒侈) |
타과 | 1603년(선조 36) 계묘(癸卯)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3등(三等) 50위 |
기타 | 유문행(有文行) 한강문인(寒崗門人) 저가례박해방례류편(著家禮剝解邦禮類編) 외재찬전(畏齋撰傳) 충무공순신즉기숙야 이서장조경 예부상서관기자청위빈사지(忠武公舜臣卽其叔也以書狀朝京禮部尙書冠其子請爲賓辭之) |
[가족사항]
[부(父)]
[조부(祖父)]
성명 :
이정(李貞)
[증조부(曾祖父)]
성명 :
이백록(李百祿)
[외조부(外祖父)]
성명 :
강세온(姜世溫)
본관 : 미상(未詳)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
성명 :
이의남(李義男)
본관 : 미상(未詳)
본관 : 미상(未詳)
[안항(鴈行)]
형(兄) :
이뢰(李蕾)【補】
제(弟) : 이번(李蕃)【補】
제(弟) : 이완(李莞)[武]【補】(주3)
제(弟) : 이번(李蕃)【補】
제(弟) : 이완(李莞)[武]【補】(주3)
안항 |
『만력31년계묘식년사마방목(萬曆三十一年癸卯式年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의산古6024-114])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
[가족과거]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九(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2019-10-30 |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