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朴榟)
[문과] 선조(宣祖) 35년(1602) 임인(壬寅) 별시(別試) 을과(乙科) 3위(04/11)
[인물요약]
[이력사항]
선발인원 | 11명 [甲1・乙3・丙7] | ||
전력 | 선교랑(宣敎郞) | ||
관직 | 첨지사(僉知事) | ||
관직 | 전한(典翰) | ||
문과시제 | 책문(策問):9경8조(九經八條) | ||
타과 | 1589년(선조 22) 기축(己丑) 증광시(增廣試) 진사(進士) 3등(三等) 12위 | ||
부모구존 | 엄시하(嚴侍下)(주4)
|
[가족사항]
[부(父)]
성명 :
박대용(朴大容)[進]
품계 :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 : 전행종친부전부(前行宗親府典簿)(주5)
【補】
품계 :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 : 전행종친부전부(前行宗親府典簿)(주5)
부관직 |
『만력30년【임인】10월22일문무과방목(萬曆三十年【壬寅】十月二十二日文武科榜目)』(『국초문과방목(國初文科榜目)』, 충남대학교 도서관[고서 史.記錄類 179]) 내의 급제 기록에는 부 관직을 추가. |
[조부(祖父)]
성명 :
박영석(朴永錫)
[증조부(曾祖父)]
성명 :
박조(朴稠)
[외조부(外祖父)]
성명 :
조경운(趙慶雲)
본관 : 미상(未詳)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
성명 :
박려(朴瓈)
본관 : 미상(未詳)
본관 : 미상(未詳)
[안항(鴈行)]
형(兄) :
박건(朴楗)[文]
제(弟) : 박미(朴楣)【補】(주6)
제(弟) : 박미(朴楣)【補】(주6)
안항 |
『만력30년【임인】10월22일문무과방목(萬曆三十年【壬寅】十月二十二日文武科榜目)』(『국초문과방목(國初文科榜目)』, 충남대학교 도서관[고서 史.記錄類 179])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
[주 1] | 자 : 『만력30년【임인】10월22일문무과방목(萬曆三十年【壬寅】十月二十二日文武科榜目)』(『국초문과방목(國初文科榜目)』, 충남대학교 도서관[고서 史.記錄類 179]) 내의 급제 기록에는 자가 "자정(子挺)"으로 나옴.
|
|
[주 2] | 생년 : 『만력30년【임인】10월22일문무과방목(萬曆三十年【壬寅】十月二十二日文武科榜目)』(『국초문과방목(國初文科榜目)』, 충남대학교 도서관[고서 史.記錄類 179]) 내의 급제 기록에는 생년이 "을축(乙丑)"(1565)으로 나옴.
|
|
[주 3] | 거주지 : 『만력30년【임인】10월22일문무과방목(萬曆三十年【壬寅】十月二十二日文武科榜目)』(『국초문과방목(國初文科榜目)』, 충남대학교 도서관[고서 史.記錄類 179])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
|
[주 4] | 구존 : 『만력30년【임인】10월22일문무과방목(萬曆三十年【壬寅】十月二十二日文武科榜目)』(『국초문과방목(國初文科榜目)』, 충남대학교 도서관[고서 史.記錄類 179])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모 구존을 추가.
|
|
[주 5] | 부관직 : 『만력30년【임인】10월22일문무과방목(萬曆三十年【壬寅】十月二十二日文武科榜目)』(『국초문과방목(國初文科榜目)』, 충남대학교 도서관[고서 史.記錄類 179]) 내의 급제 기록에는 부 관직을 추가.
|
|
[주 6] | 안항 : 『만력30년【임인】10월22일문무과방목(萬曆三十年【壬寅】十月二十二日文武科榜目)』(『국초문과방목(國初文科榜目)』, 충남대학교 도서관[고서 史.記錄類 179])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八(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2019-10-30 |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