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여일(黃汝一)
[문과] 선조(宣祖) 18년(1585) 을유(乙酉) 별시(別試) 을과(乙科) 1[榜眼]위(02/12)
[인물요약]
UCI | G002+AKS-KHF_13D669C5ECC77CB1556X0 | ||
자(字) | 회원(會元) | ||
호(號) | 해월헌(海月軒) | ||
생년 | 병진(丙辰) 1556년 (명종 11) | ||
졸년 | 임술(壬戌)(주1)
|
||
향년 | 67세 | ||
합격연령 | 30세 | ||
본인본관 | 평해(平海) | ||
거주지 | 평해(平海)【補】(주2)
|
[이력사항]
선발인원 | 12명 [甲1・乙2・丙9] |
전력 | 진사(進士) |
품계 | 통정대부(通政大夫) |
관직 | 한림(翰林) |
관직 | 부사(府使) |
타과 | 1576년(선조 9) 병자(丙子)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3등(三等) 17위 |
[가족사항]
[부(父)]
성명 :
황응징(黃應澄)
[조부(祖父)]
[증조부(曾祖父)]
성명 :
황보곤(黃輔坤)[生](주4)
증조부 |
『해월집(海月集)』 卷之14, 附錄, [행통정대부 공조참의지제교 해월헌선생 황공행장(行通政大夫工曹參議知製敎海月軒先生黃公行狀)](權萬)을 참고하여 증조부를 "황세충(黃世忠)"에서 "황보곤(黃輔坤)"으로 수정. |
[외조부(外祖父)]
성명 :
정창국(鄭昌國)【補】(주5)
본관 : 영덕(盈德)【補】
외조부 |
『해월집(海月集)』 卷之14, 附錄, [행통정대부 공조참의지제교 해월헌선생 황공행장(行通政大夫工曹參議知製敎海月軒先生黃公行狀)](權萬)을 참고하여 외조부를 추가. 외조부는 1439년(세종 21) 문과 급제자 사성(司成) 정자함(鄭自咸)의 손자임. 『평해황씨세보(平海黃氏世譜)』(1934) 권1, [爲面]을 참고하여 외조부명을 추가. |
본관 : 영덕(盈德)【補】
[처부(妻父)]
[처부(妻父)2]
성명 :
이추(李樞)(주6)
봉호 : 덕원도정(德原都正)
본관 : 전주(全州)【補】
처부 |
『해월집(海月集)』 卷之14, 附錄, [행통정대부 공조참의지제교 해월헌선생 황공행장(行通政大夫工曹參議知製敎海月軒先生黃公行狀)](權萬)을 참고하여 처부2를 추가.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의 두주에 "妻父一云德原守樞"라고 적혀 있음. |
봉호 : 덕원도정(德原都正)
본관 : 전주(全州)【補】
[안항(鴈行)]
형(兄) :
황유일(黃有一)【補】
제(弟) : 황대일(黃大一)【補】
제(弟) : 황정일(黃精一)【補】
제(弟) : 황경일(黃慶一)【補】(주7)
제(弟) : 황대일(黃大一)【補】
제(弟) : 황정일(黃精一)【補】
제(弟) : 황경일(黃慶一)【補】(주7)
안항 |
『만력4년병자2월16일사마방목(萬曆四年丙子二月十六日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貴古朝26-29-4])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평해황씨세보(平海黃氏世譜)』(1934) 권1, [爲面]에는 황여일이 황응징의 독자임. |
[가족과거]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八(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2016-07-27 | 『해월집(海月集)』 卷之14, 附錄, [행통정대부 공조참의지제교 해월헌선생 황공행장(行通政大夫工曹參議知製敎海月軒先生黃公行狀)](權萬)을 참고하여 졸년, 외조부, 처부2를 추가하였습니다. |
2016-07-27 | 『만력4년병자2월16일사마방목(萬曆四年丙子二月十六日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貴古朝26-29-4])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 안항을 추가하였습니다. |
2019-10-30 |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