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륜(辛崙)
[문과] 명종(明宗) 1년(1546) 병오(丙午)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6위(09/33)
[인물요약]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 33명 [甲3・乙7・丙23] |
전력 | 유학(幼學) |
관직 | 광주목사(光州牧使) |
문과시제 | 표(表):청태원종공신(請汰原從功臣) |
기타 | 남명찬갈(南冥撰碣) |
[가족사항]
[부(父)]
[조부(祖父)]
성명 :
신수무(辛秀武)
[증조부(曾祖父)]
성명 :
신숙청(辛俶晴)
[외조부(外祖父)]
성명 :
황○○(黃○○)(주3)
본관 : 창원(昌原)【補】
외조부 |
『남명집(南冥集)』 卷之4, 補遺, [통훈대부 광주목사 신공묘명(通訓大夫光州牧使辛公墓銘)]을 참고하여 외조부 본관을 추가. |
본관 : 창원(昌原)【補】
[처부(妻父)]
[주 1] | 생년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생년을 "무자(戊子)"(1528)에서 "갑자(甲子)"(1504)로 수정.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급제 기록에는 "무자"로 나옴. |
|
[주 2] | 졸년 : 『남명집(南冥集)』 卷之4, 補遺, [통훈대부 광주목사 신공묘명(通訓大夫光州牧使辛公墓銘)],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卷之30, 문관(文官), [신륜(辛崙)의 묘갈명(墓碣銘)](曺植)에는 졸년이 "己丑五月, 以疾終于家, 享年六十二"라고 기록되어 있음.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급제 기록에도 향년 "六十二"라고 나옴. 졸년으로 "기축(己丑)"(1589)이 맞다면(향년으로 계산하여) 생년은 "무자(戊子)"(1528)년이다. 그러나 묘명에 "隆慶元年丁卯十二月十七日, 友人南冥曺某, 撰"이라는 기록으로 보아 "정묘(丁卯)"(1567)년에 작성한 것이다. 그래서 졸년은 1567년보다 늦으면 안된다. 1478년생 부친 신필주(辛弼周)와의 관계를 보아도 생년은 1504년이 맞고, 졸년은(향년대로) "을축(乙丑)"(1565)년이 맞음. 을축의 ‘乙’을 ‘己’로 목판에 잘못 새긴(조각) 듯함. |
|
[주 3] | 외조부 : 『남명집(南冥集)』 卷之4, 補遺, [통훈대부 광주목사 신공묘명(通訓大夫光州牧使辛公墓銘)]을 참고하여 외조부 본관을 추가.
|
|
[주 4] | 처부 : 『남명집(南冥集)』 卷之2, 墓誌, [숙인 남씨묘표(淑人南氏墓表)]를 참고하여 처부 본관을 추가.
|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七(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2019-10-30 |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