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취문(金就文)
[문과] 중종(中宗) 32년(1537) 정유(丁酉) 별시(別試) 병과(丙科) 2위(06/09)
[인물요약]
UCI | G002+AKS-KHF_13AE40CDE8BB38B1509X0 |
자(字) | 문지(文之) |
호(號) | 구암(久菴) |
생년 | 기사(己巳) 1509년 (중종 4) |
졸년 | 경오(庚午) 1570년 (선조 3) |
향년 | 62세 |
합격연령 | 29세 |
본인본관 | 선산(善山[坪]) |
거주지 | 미상(未詳) |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 09명 [甲1・乙3・丙5] |
전력 | 유학(幼學) |
관직 | 의정부사인(議政府舍人) |
관직 | 의정부검상(議政府檢詳) |
관직 | 강원감사(江原監司) |
문과시제 | 책문(策問) |
기타 | 송당문인(松堂門人) 최응찬지(崔應撰誌) |
[가족사항]
[부(父)]
성명 :
김광좌(金匡佐)
[조부(祖父)]
성명 :
김제(金磾)
[증조부(曾祖父)]
성명 :
김유찬(金有瓚)
[외조부(外祖父)]
성명 :
임무(林珷)
본관 : 미상(未詳)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
성명 :
이칭(李偁)
본관 : 미상(未詳)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2]
성명 :
이인부(李仁符)(주1)
본관 : 광주(廣州)【補】
처부 |
『석담집(石潭集)』 卷之4, 墓碣, [고조고 승사랑 부군묘갈(高祖考承仕郞府君墓碣)]을 참고하여 처부2 본관을 추가. |
본관 : 광주(廣州)【補】
[안항(鴈行)]
형(兄) :
김취성(金就成)【補】
형(兄) : 김취기(金就器)【補】
형(兄) : 김취연(金就硏)【補】
형(兄) : 김취련(金就鍊)[生]【補】
제(弟) : 김취빈(金就彬)[生]【補】(주2)
형(兄) : 김취기(金就器)【補】
형(兄) : 김취연(金就硏)【補】
형(兄) : 김취련(金就鍊)[生]【補】
제(弟) : 김취빈(金就彬)[生]【補】(주2)
안항 |
『구암집(久庵集)』 卷之2, 墓碣, [선고 증가선대부 이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부군묘갈(先考贈嘉喜[善]大夫吏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府君墓碣)]을 참고하여 안항의 서차를 수정. 『가정34년을묘3월초7일사마방목(嘉靖三十四年乙卯三月初七日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6024-166]) 내의 제 김취빈(金就彬)의 합격 기록에는 안항의 서차가 "就成・就鍊・就器・就文・就硏・就彬"으로 나옴. |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六(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2019-10-30 |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