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처선(安處善)
[문과] 연산군(燕山君) 3년(1497) 정사(丁巳) 별시(別試) 을과(乙科) 1[榜眼]위(02/13)
[인물요약]
UCI | G002+AKS-KHF_13C548CC98C120U9999X0 | ||
자(字) | 선지(善之) | ||
졸년 | 갑자(甲子)(주1)
|
||
본인본관 | 순흥(順興) | ||
거주지 | 미상(未詳) |
[이력사항]
선발인원 | 13명 [甲1・乙4・丙8] |
전력 | 생원(生員) |
관직 | 병조좌랑(兵曹佐郞) |
문과시제 | 책문(策問):구경(九經) |
[가족사항]
[부(父)]
[생부(生父)]
[조부(祖父)]
[증조부(曾祖父)]
[외조부(外祖父)]
성명 :
김철균(金哲鈞)(주2)
본관 : 안동(安東[舊])【補】
외조부 |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권3, [太宗大王內外子孫錄](12쪽)과 『선원록(璿源錄)』 권14, [太宗大王宗親錄](1쪽)에는 "김철균(金哲勻)"으로 『읍취헌유고(挹翠軒遺稿)』 卷之4, 行狀, [고가선대부 공조참판 겸 오위도충부부총관 안공행장(故嘉善大夫工曹參判兼五衛都摠府副摠管安公行狀)]에는 "김철구(金哲鉤)"로, 『순흥안씨참판공파보(順興安氏參判公派譜)』(1937) 권8, [天面]에는 "김철내(金哲匂)". 匂는 勻의 이체자로 사용한 듯함. |
본관 : 안동(安東[舊])【補】
[생외조부(生外祖父)]
성명 :
이수철(李守哲)(주3)
본관 : 광주(廣州)【補】
생외조부 |
『용재집(容齋集)』 卷之10, [散文], [공조판서 안공신도비명(工曹判書安公神道碑銘)]을 참고하여 처부 본관을 추가. |
본관 : 광주(廣州)【補】
[처부(妻父)]
[처부(妻父)2]
성명 :
송자강(宋自剛)(주4)
본관 : 여산(礪山)【補】
처부 |
『용재집(容齋集)』 卷之10, [散文], [공조판서 안공신도비명(工曹判書安公神道碑銘)]을 참고하여 처부1・2 본관을 추가. |
본관 : 여산(礪山)【補】
[안항(鴈行)]
본생가 형(兄) :
안처명(安處明)[生]【補】
본생가 제(弟) : 안처성(安處誠)[文]【補】
본생가 제(弟) : 안처신(安處身)【補】(주5)
본생가 제(弟) : 안처성(安處誠)[文]【補】
본생가 제(弟) : 안처신(安處身)【補】(주5)
안항 |
『용재집(容齋集)』 卷之10, [散文], [공조판서 안공신도비명(工曹判書安公神道碑銘)]과 『씨족원류(氏族源流)』 [순흥안씨]편(383쪽)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
[가족과거]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五(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2015-11-23 | 『용재집(容齋集)』 卷之10, [散文], [공조판서 안공신도비명(工曹判書安公神道碑銘)]을 참고하여 생외조부 본관, 처부 본관을 추가하였습니다. |
2015-11-23 | 『용재집(容齋集)』 卷之10, [散文], [공조판서 안공신도비명(工曹判書安公神道碑銘)]과 『씨족원류(氏族源流)』 [순흥안씨]편(383쪽)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하였습니다. |
2015-12-29 | 『읍취헌유고(挹翠軒遺稿)』 卷之4, 行狀, [고가선대부 공조참판 겸 오위도충부부총관 안공행장(故嘉善大夫工曹參判兼五衛都摠府副摠管安公行狀)]을 참고하여 외조부를 수정하였습니다. |
2019-10-30 |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