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희락(李希洛)
[문과] 성종(成宗) 17년(1486) 병오(丙午)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14위(24/33)
[인물요약]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 33명 [甲3・乙7・丙23] | ||
전력 | 종사랑(從仕郞) | ||
관직 | 파주목사(坡州牧使)(주3)
|
||
관직 | 한림(翰林) | ||
문과시제 | 책문(策問) | ||
타과 | 1469년(예종 1) 기축(己丑) 증광시(增廣試) 생원(生員) 3등(三等) 14위 1469년(예종 1) 기축(己丑) 증광시(增廣試) 진사(進士) 3등(三等) 62위 |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이양원(李養源)
[조부(祖父)]
성명 :
이○○(李○○)
[증조부(曾祖父)]
성명 :
이○○(李○○)
[외조부(外祖父)]
성명 :
▣○○(▣○○)
본관 : 미상(未詳)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
성명 :
▣○○(▣○○)
본관 : 미상(未詳)
본관 : 미상(未詳)
[주 1] | 자 : 자가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에는 “정옹(丁翁)”으로, 『국조방목(國朝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貴11655])에는 “자옹(子翁)”으로,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에는 “요옹(了翁)”으로 기록되어 있음. 사마방목에는 기록이 없음.
|
|
[주 2] | 본관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에는 “수원인(水原人)”으로, 『국조방목(國朝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貴11655])에는 본관 미상,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에는 “수원인(水原人)”으로 기록되어 있음. 『성화기축6년9월일생원진사시방(成化己丑六年九月日生員進士試榜)』(고려대학교 도서관[만송 貴 378])에는 본관이 “함안(咸安)”으로 기록되어 있음. 어느 것이 맞는지 판단하기 어려워 현 상태를 유지함. |
|
[주 3] | 관직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참고하여 관직 “목사”를 “파주목사”로 수정.
|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四(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2013-07-11 | 3종의 문과 종합방목 내의 급제 기록과 사마방목을 참고하여 자, 본관에 각주를 추가하였습니다. |
2013-08-06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참고하여 관직 "목사"를 "파주목사"로 수정하였습니다. |
2019-10-30 |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