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과거 및 취재
배맹후(裵孟厚)

[문과] 세조(世祖) 8년(1462) 임오(壬午) 알성시(謁聖試) 정과(丁科) 5위(09/09)

[인물요약]

UCIG002+AKS-KHF_13BC30B9F9D6C4U9999X0
자(字)재지(載之)
호(號)계당(桂堂)
생년 무진(戊辰)(주1)
생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생년을 추가.
【補】 1448년 (세종 30)
졸년 기해(己亥)(주2)
졸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補】 1479년 (성종 10)
향년32세
합격연령15세
본인본관분성(盆城)(주3)
본관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에는 흥해(興海)로 되어 있다.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에도 흥해(興海)로 되어 있는데, 두주로 “일운김해인(一云金海人)”이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와 『국조방목(國朝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貴11655])에는 급제자가 배세적(裵世績)의 아버지라고 추가로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배세적은 중종(中宗) 2年(1507) 정묘 식년 문과(丁卯式年文科)에 급제하였다. 여기에 세적의 아버지는 맹후(孟厚)가 아니라 중후(仲厚)로 되어 있다. 맹후와 중후는 형제지간이다. 이를 근거로 일단 본관을 “분성(盆城)”으로 정리하였다. 분성은 김해의 옛 이름임. 참고로 『김해배씨세보(金海裵氏世譜)』에도 배맹후가 수록되어 있음.
거주지영산(靈山)【補】(주4)
거주지
『사마방목[세조임오식년](司馬榜目[世祖壬午式年])』(개인)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이력사항]

선발인원09명 [乙1・丙3・丁5]
전력생원(生員)
관직이조참의(吏曹參議)
문과시제책문(策問):예악・용인(禮樂用人)
타과1462년(세조 8) 임오(壬午)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1등(一等) 1위[壯元]
1462년(세조 8) 임오(壬午)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1등(一等) 1위[壯元]
기타생원(生員)・진사(進士) 양장원(兩壯元)

[가족사항]

[주 1]생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생년을 추가.
[주 2]졸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주 3]본관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에는 흥해(興海)로 되어 있다.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에도 흥해(興海)로 되어 있는데, 두주로 “일운김해인(一云金海人)”이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와 『국조방목(國朝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貴11655])에는 급제자가 배세적(裵世績)의 아버지라고 추가로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배세적은 중종(中宗) 2年(1507) 정묘 식년 문과(丁卯式年文科)에 급제하였다. 여기에 세적의 아버지는 맹후(孟厚)가 아니라 중후(仲厚)로 되어 있다. 맹후와 중후는 형제지간이다. 이를 근거로 일단 본관을 “분성(盆城)”으로 정리하였다. 분성은 김해의 옛 이름임. 참고로 『김해배씨세보(金海裵氏世譜)』에도 배맹후가 수록되어 있음.
[주 4]거주지 : 『사마방목[세조임오식년](司馬榜目[世祖壬午式年])』(개인)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주 5]가계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급제 기록에는 "世績父"라고 적혀 있는데, "世績伯"이 맞다. 『김해배씨세보(金海裵氏世譜)』를 참고하면 배세적(裵世績)은 배중후(裵仲厚)의 아들이고, 배중후는 배맹후(裵孟厚)의 동생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배세적(裵世績)의 급제 기록을 보면 세적은 배중후의 아들임.
[주 6]안항 : 『씨족원류(氏族源流)』 [○○배씨]편(774쪽)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三(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소장처]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국조방목(國朝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貴11655]・[奎5202]・[古4650-97]);『국조방목(國朝榜目)』(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일사 351.306 B224]);『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등과록(登科錄)』(일본 도요분코(東洋文庫)[Ⅶ-2-35]);『해동용방(海東龍榜)』(국립중앙도서관[古6024-157]), 原:일본 도쿄다이가쿠(東京大學) 아가와분코(阿川文庫[G23-176]);『국조방목(國朝榜目)』(原:규장각[奎貴11655], 大韓民國國會圖書館, 1971.);『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1책(原:규장각[奎106], 太學社, 1984.)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2012-11-30『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2014-07-02『사마방목[세조임오식년](司馬榜目[世祖壬午式年])』(개인)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하였습니다.
2019-10-30『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추가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