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상(尹相)
[고려사마] 우왕(禑王) 3년(1377) 정사(丁巳) 진사시(進士試) 3등(三等) 24위(43/57)
[인물요약]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 57명 |
전력 | 성균학생(成均學生) |
관직 | 보궐(補闕) |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윤득룡(尹得龍)
품계 : 봉상대부(奉常大夫)
관직 : 삼사부사(三司副使)
품계 : 봉상대부(奉常大夫)
관직 : 삼사부사(三司副使)
[처부(妻父)]
[안항(鴈行)]
제(弟) :
윤정(尹定)[文]【補】
제(弟) : 윤응(尹應)【補】(주4)
제(弟) : 윤응(尹應)【補】(주4)
안항 |
『씨족원류(氏族源流)』 [함안윤씨]편(447쪽), 『함안윤씨세보(咸安尹氏世譜)』 卷之1, [黃面]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
[주 1] | 개명 : 『선광7년정사3월일문생진[사시방목](宣光七年丁巳三月日門生進[士試榜目])』 내의 합격 기록에 “개장 경신동진제(改將庚申同進第)”라는 첨언(添言)이 기록되어 있음. 개명이 윤장이고 경신년 문과에 동진사로 급제하였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문과 급제자 윤상[개명 윤장]은 파평윤씨임. 이름이 같아서 실수로 첨언을 적은 듯함.
|
|
[주 2] | 본관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윤정(尹定)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본관을 “함안(咸安)”으로 추가. 윤상과 윤정은 형제 사이임.
|
|
[주 3] | 처부 : 『씨족원류(氏族源流)』 [함안윤씨]편(447쪽), 『함안윤씨세보(咸安尹氏世譜)』 卷之1, [黃面]을 참고하여 처부를 추가.
|
|
[주 4] | 안항 : 『씨족원류(氏族源流)』 [함안윤씨]편(447쪽), 『함안윤씨세보(咸安尹氏世譜)』 卷之1, [黃面]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
[출전]
『선광7년정사3월일문생진[사시방목](宣光七年丁巳三月日門生進[士試榜目])』(『고문서집성(古文書集成)』23책(거창 초계정씨篇), 韓國精神文化硏究院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1-10-31 | 『선광7년정사3월일문생진[사시방목](宣光七年丁巳三月日門生進[士試榜目])』(『고문서집성(古文書集成)』23책(거창 초계정씨篇), 韓國精神文化硏究院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3-04-17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윤정(尹定)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본관을 "함안(咸安)"으로 추가하였습니다. |
2013-08-27 | 『선광7년정사3월일문생진[사시방목](宣光七年丁巳三月日門生進[士試榜目])』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개명에 각주를 추가하였습니다. |
2017-02-07 | 『씨족원류(氏族源流)』 [함안윤씨]편(447쪽), 『함안윤씨세보(咸安尹氏世譜)』 卷之1, [黃面]을 참고하여 처부, 안항을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