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백전(李百全)
[고려문과] 우왕(禑王) 8년(1382) 임술(壬戌) 임술방(壬戌榜) 동진사(同進士) 4위(14/33)
[인물요약]
UCI | G002+AKS-KHF_13C774BC31C804U9999X1 |
이명(異名) | 이백전(李伯全) |
본인본관 | 함안(咸安) |
거주지 | 미상(未詳) |
[관련정보]
[이력사항]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이○○(李○○)
[조부(祖父)]
성명 :
이○○(李○○)
[증조부(曾祖父)]
성명 :
이○○(李○○)
[주 1] | 전력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6024-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전력을 “진사”에서 “신진사”로 수정.
|
|
[주 2] | 관직 : 「대명홍무15년임술년5월일급제동년방목(大明洪武十五年壬戌年五月日及第同年牓[榜]目)」(『고문서집성(古文書集成)』23(居昌 草溪鄭氏), 韓國精神文化硏究院편,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5.)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관직을 추가.
|
|
[주 3] | 관직2 :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4650-10]) 내의 급제 기록에 나오는 “대성(大成)”은 오류 인 듯함. 고려조에 이백전은 2명임. 『고려사(高麗史)』 제103권, 열전 제16, [최춘명]에 나오는 내시(內侍) 이백전(李白全)과 함안인 문과 급제자 이백전(李百全)이다. 대사성은 전자가 역임한 관직인 듯함. 『고문서집성(古文書集成)』23(居昌 草溪鄭氏)에 나오는 제용감정이 후자가 역임한 관직임. 보통 인물을 나열할 때는 시대순으로 하는데,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성주목(星州牧) 인물편을 보면 이백전 다음으로 이승휴(李承休, 1224~1300)가 나온다. 이를 보면 이백전은 이승휴와 동시대 인물임을 알 수 있고, 보문각학사를 역임한 인물이 대사성을 역임하였을 것으로 추정이 가능함.
|
[출전]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 卷之二(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4650-10])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8-12-31 |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 卷之二(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4650-10])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30 |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 卷之二(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4650-10])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2013-04-22 | 「대명홍무15년임술년5월일급제동년방목(大明洪武十五年壬戌年五月日及第同年牓[榜]目)」(『고문서집성(古文書集成)』23(居昌 草溪鄭氏), 韓國精神文化硏究院편,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5.)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관직을 추가하였습니다. |
2013-05-07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경상도(慶尙道)의 성주목(星州牧) 인물편을 참고하여 관직 "보문각학사(寶文閣學士)"를 추가하였습니다. |
2013-10-23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경상도(慶尙道)의 성주목(星州牧) 인물편에 이백전이 역임한 "보문각학사(寶文閣學士)"는 삭제함. 보문각학사는 『고려사(高麗史)』 제103권, 열전 제16, [최춘명]에 나오는 내시(內侍) 이백전(李白全)이 역임한 관직이다. 보통 인물을 나열할 때는 시대순으로 하는데,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성주목 인물편을 보면 이백전 다음으로 이승휴(李承休, 1224~1300)가 나온다. 이를 보면 이백전은 이승휴와 동시대 인물임을 알 수 있고, 보문각학사를 역임한 인물이 대사성을 역임하였을 것으로 추정이 가능하다. |
2013-10-31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6024-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전력을 "진사"에서 "신진사"로 수정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