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孔俯)
[고려문과] 우왕(禑王) 2년(1376) 병진(丙辰) 병진방(丙辰榜) 병과(丙科) 5위(8/33)
[인물요약]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 33명 [乙3・丙7・同進23] |
관직 | 제학(提學) |
[가족사항]
[부(父)]
[조부(祖父)]
성명 :
공○○(孔○○)
[증조부(曾祖父)]
성명 :
공○○(孔○○)
[안항(鴈行)]
[가족과거]
[주 1] | 졸년 : 『태종실록』 32권, 태종 16년(1416) 10월 7일 졸기 기사를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卒年五十三.”을 참고.
|
|
[주 2] | 본관 : 본관을 "창원(昌原)"에서 "곡부(曲阜)"로 수정. 창원과 곡부는 동원(同源)으로 1794년(정조 18)년 곡부로 개관함.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4650-10])에는 본관이 “창녕(昌寧)”으로 기록되어 있음. |
|
[주 3] | 거주지 : 『태종실록』 32권, 태종 16년(1416) 10월 7일 졸기 기사를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俯(減陰縣)[感陰縣]人”을 참고. 감음현은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의 옛이름임.
|
|
[주 4] | 부 :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4650-10]) 내의 급제 기록에는 "공소(孔紹)"가 부로 나옴. 『씨족원류(氏族源流)』 [창원공씨]편(808쪽)에는 "공소(孔紹)"와 "공부(孔俯)" 사이에 "공녀(孔帤)"를 기입하였다. 즉, 공소는 공부의 조부임. |
|
[주 5] | 안항 : 『씨족원류(氏族源流)』 [창원공씨]편(808쪽)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
[출전]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 卷之二(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4650-10])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8-12-31 |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 卷之二(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4650-10])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30 |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 卷之二(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4650-10])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2011-05-03 | 본관을 창녕(昌寧)에서 창원(昌原)으로 수정하였습니다. |
2013-02-28 | 『태종실록』 32권, 태종 16년(1416) 10월 7일 졸기 기사를 참고하여 졸년, 거주지를 추가하였습니다. |
2013-07-22 |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4650-10])을 참고하여 본관에 각주를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