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익(全翊)
[고려문과] 공민왕(恭愍王) 4년(1355) 을미(乙未) 을미방(乙未榜) 병과(丙科) 7위(10/33)
[인물요약]
[이력사항]
선발인원 | 33명 |
타과 | 1355년(공민왕 4) 을미(乙未) 진사시(進士試) 진사(進士) 1등(一等) 1위[壯元] |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전단(全旦)(주2)
관직 : 지후(祗候)(주3)
부 |
『증보문헌비고정오(增補文獻備考正誤)』(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31-5-6])와 天安全氏族譜(1704)를 참고하여 부 전유(全侑)를 전단(全旦)으로 수정. 『증보문헌비고정오(增補文獻備考正誤)』에는 “全朝”로 나오는데, 조선 태조의 이름[旦]을 피휘해서 의미가 같은 “朝”로 기록되어 있다. 전유(全侑)는 옥천전씨 시조인 전학준(全學俊)의 현손으로 기록되어 있음. |
관직 : 지후(祗候)(주3)
부관직 |
『대원지정15년을미급제방(大元至正十五年乙未及第枋[榜])』(『고문서집성(古文書集成)』23책(거창 초계정씨篇), 韓國精神文化硏究院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 관직을 추가. |
[조부(祖父)]
성명 :
전○○(全○○)
[증조부(曾祖父)]
성명 :
전○○(全○○)
[주 1] | 본관 : 『증보문헌비고정오(增補文獻備考正誤)』(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31-5-6])를 참고하여 본관을 천안(天安)으로 추가. 전씨(全氏)의 시조는 전섭(全聶)으로 기록되어 있음. 전섭의 자 전호익(全虎翼)까지는 대부분 전씨가 동일하다. 『증보문헌비고정오(增補文獻備考正誤)』에 정선전씨(旌善全氏)는 시조 “聶-子虎翼-6세손宣”으로 나오고, 천안전씨(天安全氏)는 시조 “宗道-子樂-子洪述”, 옥천전씨(沃川全氏)는 시조 “學俊-玄孫侑-子光韻”, 용궁전씨(龍宮全氏)는 시조 “邦淑”, 경주전씨(慶州全氏)는 시조 “公植”, 죽산전씨(竹山全氏)는 시조 “僴”, 기장전씨(機張全氏)는 시조 “泳”으로 기록되어 있다. 모두 정선전씨에서 분적하였다. 천안전씨의 경우 天安全氏族譜(1704)를 보면 시조 전종도(全宗道) 상계로 “全聶-子虎翼”이 나오고, 시조 전종도는 “至宗道”로 적혀 있다. 호익과 종도 사이에 많은 세월이 흘러 상계를 알 수 없다는 것이다.
|
|
[주 2] | 부 : 『증보문헌비고정오(增補文獻備考正誤)』(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31-5-6])와 天安全氏族譜(1704)를 참고하여 부 전유(全侑)를 전단(全旦)으로 수정. 『증보문헌비고정오(增補文獻備考正誤)』에는 “全朝”로 나오는데, 조선 태조의 이름[旦]을 피휘해서 의미가 같은 “朝”로 기록되어 있다. 전유(全侑)는 옥천전씨 시조인 전학준(全學俊)의 현손으로 기록되어 있음.
|
|
[주 3] | 부관직 : 『대원지정15년을미급제방(大元至正十五年乙未及第枋[榜])』(『고문서집성(古文書集成)』23책(거창 초계정씨篇), 韓國精神文化硏究院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 관직을 추가.
|
[출전]
『대원지정15년을미급제방(大元至正十五年乙未及第枋[榜])』(『고문서집성(古文書集成)』23책(거창 초계정씨篇), 韓國精神文化硏究院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8-12-31 | 『대원지정15년을미급제방(大元至正十五年乙未及第枋[榜])』(『고문서집성(古文書集成)』23책(거창 초계정씨篇), 韓國精神文化硏究院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3-05-29 | 『대원지정15년을미급제방(大元至正十五年乙未及第枋[榜])』(『고문서집성(古文書集成)』23책(거창 초계정씨篇), 韓國精神文化硏究院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 관직을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