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조년(李兆年)
[고려문과] 충렬왕(忠烈王) 11년(1285) 을유(乙酉) 을유방(乙酉榜) 병과(丙科) 1위(2/31)
[인물요약]
UCI | G002+AKS-KHF_13C774C870B144B1269X0 | ||
자(字) | 원로(元老) | ||
시호(諡號) | 문열(文烈) | ||
생년 | 기사(己巳) 1269년 (원종 10) | ||
졸년 | 계미(癸未) 1343년 (충혜왕 후4) | ||
향년 | 75세 | ||
합격연령 | 17세 | ||
본인본관 | 성주(星州)(주3)
|
||
거주지 | 경산(京山)(주1)
|
[관련정보]
[이력사항]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이장경(李長庚)
[조부(祖父)]
성명 :
이득희(李得禧)
[증조부(曾祖父)]
성명 :
이돈문(李敦文)
[처부(妻父)]
[주 1] | 거주지 : 『경산지(京山志)』 卷之4, 人物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
|
[주 2] | 기타 : 이제현(李齊賢)이 찬한 이조년묘지명(李兆年墓誌銘)에 “公年十七 以鄕貢進士 登第丙科”로 기록되어 있다. 이조년의 나이 17세는 1285년으로 충렬왕 11년이다. 『고려사』 제109권, 열전 제22, [이조년]열전에 “忠烈二十年 以鄕貢進士 登第”로 나오는데, 충렬왕 20년은 1294년으로 이조년은 26세였다. 이조년은 기사(1269) 생, 계미(1343) 졸로 향년 75세이다. 만일 충렬왕 20년(1294)이 17세이면, 묘지명과 고려사 둘 다 충족시킬 수 있는데, 그러면 생년이 1278년이 되고, 졸년은 1352년 된다. 이것은 다른 기록(방목, 묘지명)들로 보아서 맞지 않다. 또 하나의 가설은 17세에 진사시에 합격하고, 26세에 문과에 급제한 경우이다. 묘지명의 17세 을유(1285)에 향공진사에 합격하고, 고려사의 충렬왕 20년(1294)에 문과에 급제한 경우이다. 아니면 고려사 기록이 오류로 17세 을유(1285)에 향공진사와 문과를 같은 해에 합격한 경우이다. 동 시대 사람인 이제현이 찬한 묘지명의 기록을 무시할 수 없으며, 고려사의 기록 또한 그러해서 아직 과거 급제년을 확증할 수 없다. 방목의 기록대로 두었다가 추후에 상고해서 급제년을 확증해야 할 것 같다.
|
|
[주 3] | 본관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에는 본관이 “경산(京山)”으로 기록되어 있음.
|
[출전]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 卷之二(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4650-10])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8-12-31 |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 卷之二(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4650-10])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30 |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 卷之二(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4650-10])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2012-12-17 | 京山志 卷之四, 人物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하였습니다. |
2013-07-16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참고하여 본관에 각주를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