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취(韓就)
[고려문과] 인종(仁宗) 99년미상(未詳) 시년미상(未詳) ○과(○科) ○○위
[인물요약]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 ○○명 |
관직 | 평장사(平章事) |
[가족사항]
[부(父)]
성명 :
한○○(韓○○)
[조부(祖父)]
성명 :
한○○(韓○○)
[증조부(曾祖父)]
성명 :
한○○(韓○○)
[주 1] | 졸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
|
[주 2] | 본관 : 활동 시기가 고려 인종대인 점, 『고려사』 제99권 최유청 열전의 기사 “형부상서(刑部尙書) 한취(韓就)는 단주(湍州) 사람으로 술수(術數)를 잘 알아서 능히 사람의 화와 복을 예언하였는데 지혜로써 몸을 보전하였고 벼슬이 중서시랑 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에까지 이르렀다.”에 평장사 역임 기록이 이 문과기록에 등재된 평장사 역임기록과 동일한 점을 참고하여 미상인 본관을 단주로 함.
|
[출전]
『高麗時代 蔭叙制와 科擧制 硏究』(朴龍雲, 一志社, 1990.[382-333])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8-12-31 | 『高麗時代 蔭叙制와 科擧制 硏究』(朴龍雲, 一志社, 1990.[382-333])를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