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언기(李彦紀)
[문과] 숙종(肅宗) 13년(1687) 정묘(丁卯)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3위(06/39)
[인물요약]
UCI | G002+AKS-KHF_13C774C5B8AE30B1640X0 | ||
자(字) | 선경(善卿) | ||
생년 | 경진(庚辰) 1640년 (인조 18) | ||
합격연령 | 48세 | ||
본인본관 | 전주(全州) | ||
거주지 | 한성([京])【補】(주1)
|
[이력사항]
선발인원 | 39명 [甲3・乙7・丙29] | ||
전력 | 현령(縣令) | ||
관직 | 병조참판(兵曹參判) | ||
문과시제 | 책문(策問):시(時) | ||
타과 | 1675년(숙종 1) 을묘(乙卯)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2등(二等) 11위 | ||
부모구존 | 자시하(慈侍下)(주2)
|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이백린(李伯麟)[文]
증직 : 증자헌대부 이조판서 겸 지경연의금부사 홍문관대제학예문관대제학 지성균관춘추관사 오위도총부도총관(贈資憲大夫吏曹判書兼知經筵義禁府事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知成均館春秋館事五衛都摠府都摠管)
품계 : 행통훈대부(行通訓大夫)
관직 :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관직 : 춘추관기주관(春秋館記注官)(주3)
【補】
증직 : 증자헌대부 이조판서 겸 지경연의금부사 홍문관대제학예문관대제학 지성균관춘추관사 오위도총부도총관(贈資憲大夫吏曹判書兼知經筵義禁府事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知成均館春秋館事五衛都摠府都摠管)
품계 : 행통훈대부(行通訓大夫)
관직 :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관직 : 춘추관기주관(春秋館記注官)(주3)
부관직 |
『정묘식년용호방목(丁卯式年龍虎榜目)』(청주대학교 중앙도서관[350.48 정378])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 관직을 추가. |
[조부(祖父)]
[증조부(曾祖父)]
[외조부(外祖父)]
[처부(妻父)]
성명 :
윤세휴(尹世休)(주4)
본관 : 해평(海平)【補】
처부 |
『서석집(瑞石集)』 卷之16, 墓誌墓碣墓表, [통훈대부 행이조정랑지제교 겸 세자시강원문학 윤공묘표(通訓大夫行吏曹正郞知製敎兼世子侍講院文學尹公墓表)]와 『해평윤씨대동보(海平尹氏大同譜)』(1983) 권1, [113쪽]을 참고하여 처부 본관을 추가. |
본관 : 해평(海平)【補】
[안항(鴈行)]
제(弟) :
이언강(李彦綱)[文]
제(弟) : 이언유(李彦維)[進]【補】(주5)
제(弟) : 이언유(李彦維)[進]【補】(주5)
안항 |
『정묘식년용호방목(丁卯式年龍虎榜目)』(청주대학교 중앙도서관[350.48 정378])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十三(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2019-10-30 |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