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돈(李焞)
[문과] 선조(宣祖) 34년(1601) 신축(辛丑)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22위(32/34)
[인물요약]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 34명 [甲3・乙7・丙24] | ||
전력 | 유학(幼學)(주5)
|
||
관직 | 사간원헌납(司諫院獻納) | ||
기타 | 명범숙묘어휘(名犯肅廟御諱) |
||
부모구존 | 자시하(慈侍下)(주6)
|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이원회(李元晦)
품계 : 장사랑(將仕郞)(주7)
【補】
품계 : 장사랑(將仕郞)(주7)
부관직 |
『만력28년경자식년퇴행어신축하[문무잡과방목](萬曆二十八年庚子式年退行於辛丑夏[文武雜科榜目])』(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TK 2291.7 1748(1600)])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 관직을 추가. |
[조부(祖父)]
성명 :
이희청(李希淸)
[증조부(曾祖父)]
성명 :
이호(李壕)
[외조부(外祖父)]
성명 :
송한룡(宋翰龍)【補】(주8)
본관 : 여산(礪山)【補】
외조부 |
『동야집(東埜集)』 卷之12, 行狀, [증집의 행헌납 호봉 이공행장(贈執義行獻納壺峰李公行狀)]을 참고하여 외조부를 추가. |
본관 : 여산(礪山)【補】
[처부(妻父)]
성명 :
권복(權復)【補】(주9)
본관 : 안동(安東)【補】
처부 |
『동야집(東埜集)』 卷之12, 行狀, [증집의 행헌납 호봉 이공행장(贈執義行獻納壺峰李公行狀)]을 참고하여 처부를 추가. |
본관 : 안동(安東)【補】
[안항(鴈行)]
형(兄) :
이혁(李爀)【補】
제(弟) : 이황(李煌)【補】(주10)
제(弟) : 이황(李煌)【補】(주10)
안항 |
『만력28년경자식년퇴행어신축하[문무잡과방목](萬曆二十八年庚子式年退行於辛丑夏[文武雜科榜目])』(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TK 2291.7 1748(1600)])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
[가족과거]
[주 1] | 이명 : 『만력28년경자식년퇴행어신축하[문무잡과방목](萬曆二十八年庚子式年退行於辛丑夏[文武雜科榜目])』(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TK 2291.7 1748(1600)]) 내의 급제 기록과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 내의 급제 기록에는 성명이 "이돈(李焞)"으로 나오고,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급제 기록에는 "이향(李享)"으로 기록되어 있음. 『동야집(東埜集)』 卷之12, 行狀, [증집의 행헌납 호봉 이공행장(贈執義行獻納壺峰李公行狀)]에는 "이돈(李燉)"으로 나옴. |
|
[주 2] | 호 : 『동야집(東埜集)』 卷之12, 行狀, [증집의 행헌납 호봉 이공행장(贈執義行獻納壺峰李公行狀)]을 참고하여 호를 추가.
|
|
[주 3] | 졸년 : 『동야집(東埜集)』 卷之12, 行狀, [증집의 행헌납 호봉 이공행장(贈執義行獻納壺峰李公行狀)]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
|
[주 4] | 거주지 : 『만력28년경자식년퇴행어신축하[문무잡과방목](萬曆二十八年庚子式年退行於辛丑夏[文武雜科榜目])』(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TK 2291.7 1748(1600)])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
|
[주 5] | 전력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에는 전력이 "참봉(參奉)"으로,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에는 "유학(幼學)"으로 나옴.
|
|
[주 6] | 구존 : 『만력28년경자식년퇴행어신축하[문무잡과방목](萬曆二十八年庚子式年退行於辛丑夏[文武雜科榜目])』(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TK 2291.7 1748(1600)])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모 구존을 추가.
|
|
[주 7] | 부관직 : 『만력28년경자식년퇴행어신축하[문무잡과방목](萬曆二十八年庚子式年退行於辛丑夏[文武雜科榜目])』(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TK 2291.7 1748(1600)])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 관직을 추가.
|
|
[주 8] | 외조부 : 『동야집(東埜集)』 卷之12, 行狀, [증집의 행헌납 호봉 이공행장(贈執義行獻納壺峰李公行狀)]을 참고하여 외조부를 추가.
|
|
[주 9] | 처부 : 『동야집(東埜集)』 卷之12, 行狀, [증집의 행헌납 호봉 이공행장(贈執義行獻納壺峰李公行狀)]을 참고하여 처부를 추가.
|
|
[주 10] | 안항 : 『만력28년경자식년퇴행어신축하[문무잡과방목](萬曆二十八年庚子式年退行於辛丑夏[文武雜科榜目])』(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TK 2291.7 1748(1600)])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八(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2012-06-14 | 『만력28년경자식년퇴행어신축하[문무잡과방목](萬曆二十八年庚子式年退行於辛丑夏[文武雜科榜目])』(하버드옌칭도서관)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하였습니다. |
2015-06-23 | 『만력28년경자식년퇴행어신축하[문무잡과방목](萬曆二十八年庚子式年退行於辛丑夏[文武雜科榜目])』(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TK 2291.7 1748(1600)])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 부모 구존, 부 관직, 안항을 추가하였습니다. |
2019-10-30 |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