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권(金權)
[문과] 중종(中宗) 12년(1517) 정축(丁丑) 별시(別試) 3등(三等) 11위(15/18)
[인물요약]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 18명 [一等1・二等3・三等14] | ||
전력 | 유학(幼學) | ||
관직 | 병조정랑(兵曹正郞)(주2)
|
||
관직 | 남원도호부사(南原都護府使)(주3)
|
||
문과시제 | 송(頌):두미삼전(斗米三錢) |
[가족사항]
[부(父)]
[조부(祖父)]
성명 :
김경(金冏)
[증조부(曾祖父)]
성명 :
김중령(金仲齡)
[외조부(外祖父)]
성명 :
▣○○(▣○○)
본관 : 미상(未詳)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
[주 1] | 본관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국조방목(國朝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貴11655]),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 3종 모두 본관이 "청풍인(淸風人)"으로 기록되어 있음. 『국조문과방목』에만 두주로 "淸風譜以爲可疑 通川人云"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국조방목』(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貴11655])에서는 친가쪽 선계는 기록이 없고, "外朴貴亨 妻夫高台輔"라고 적혀 있음. 청풍인 김권은 『문화류씨가정보(文化柳氏嘉靖譜)』(1565) 권3, [髮面]과 『씨족원류(氏族源流)』 [제주고씨]편(757쪽)에는 감찰(監察)이며, 『씨족원류(氏族源流)』 [청풍김씨]편(277쪽)에서는 남원부사(南原府使), 『씨족원류(氏族源流)』 [고창오씨]편(610쪽)에서는 양덕현감(陽德縣監) 등을 지낸 것으로 나온다. 계보는 "김경문(金敬文)-김질(金耋)-김석필(金碩弼)-김권(金權)"으로 외조부는 해주오씨(海州吳氏) 직장(直長) 오귀형(吳貴亨)이고, 처부는 제주고씨(濟州高氏) 판관(判官) 고태보(高台輔)이다. 통천인 김권은 『문화류씨가정보(文化柳氏嘉靖譜)』(1565) 권7, [丁面]과 『문화류씨가정보(文化柳氏嘉靖譜)』(1565) 권2, [柰面], 그리고 『씨족원류(氏族源流)』 [전주이씨]편(30쪽)을 참고하면 부사(府使)를 지냈고, 자(子) 김득개(金得愷)와 김응개(金應愷)의 사마방목을 참고하면 병조정랑(兵曹正郞)과 남원도호부사(南原都護府使)를 역임하였다. 계보는 "김중령(金仲齡)→김경(金冏)→김석필(金碩弼)→김권(金權)"로 외조부는 미상이고, 처부는 내금위(內禁衛) 오경문(吳敬文)이다. 청풍인 김권의 남원부사는 오류인 듯하고, 통천인 김권의 남원부사는 『중종실록』 82권, 중종 31년(1536) 7월 27일 기사에 기록되어 있다. 참고로 청풍인 김권(金權)의 조부 김질(金耋)의 생년은 1433년(세종 15)이고, 김권의 사촌인 노천(老泉) 김식(金湜)의 생년은 1482년(성종 13)이다. 통천인 김권(金權)의 아들 둘째아들 김응개(金應愷)의 생년은 1521년(중종 16)이다. 가족들의 생년을 참고로 하면 청풍인 김권이나 통천인 김권의 생년은 둘 다 1480~1490년으로 추정되고, 시험년(1517)과 비교해도 27~37세에 급제를 하게되어서 무리는 없다. 역임한 관직으로 추정하면 문과 급제자에 근접한 것은 병조정랑임을 알 수 있다. 이를 근거로 본관을 "청풍(淸風)"에서 "통천(通川)"으로 수정. |
|
[주 2] | 관직 : 『가정13년갑오윤2월초2일생원진사방(嘉靖十三年甲午閏二月初二日生員進士榜)』(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K 2291.7 1746(1534)]) 내의 자 김득개(金得愷)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관직 “병조정랑”을 추가.
|
|
[주 3] | 관직2 : 『중종실록』 82권, 중종 31년(1536) 7월 27일 기사와 『가정37년무오추생원진사방목(嘉靖三十七年戊午秋生員進士榜目)』(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K 2291.7 1746(1558)]) 내의 자 김응개(金應愷)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관직을 “부사”에서 “남원도호부사”로 수정.
|
|
[주 4] | 부 : 『씨족원류(氏族源流)』 [청풍김씨]편(277쪽)을 참고하면 청풍인 김권은 2명이 있다. 첫째 “김질(金耋)-김석필(金碩弼)-김권(金權)”과 둘째 “김질(金耋)-김숙필(金叔弼)-김식(金湜)-김덕무(金德懋)-김권(金權)”으로 6촌 간의 조손(祖孫) 관계이다. 첫째의 내용을 보면 “南原府使 中廟丁丑別試 室判官高敞吳台輔女”이고, 둘째는 “戶曹參判 宣廟庚辰別試 室韓山李漢城女”이다. 후자는 1580년(선조 13) 경진(庚辰) 별시(別試) 을과(乙科) 6위로 문과 급제하였고, 전자는 1517년 문과에 급제한 것으로 오인되는 인물이다.
|
|
[주 5] | 처부 : 『문화류씨가정보(文化柳氏嘉靖譜)』(1565) 권2, [柰面], 『씨족원류(氏族源流)』 [전주이씨]편(30쪽)을 참고하여 처부를 “고태보(高台輔)”에서 “오경문(吳敬文)”으로 수정. 『씨족원류(氏族源流)』 [청풍김씨]편(277쪽)에는 처부 고태보(高台輔)를 오태보(吳台輔)로 오기하고 있음. 『씨족원류(氏族源流)』 [고창오씨]편(610쪽)을 참고하면 고태보의 처부가 오엄(吳淹)으로 이 때문에 생긴 오류 같음.
|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六(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소장처] ![](/svg/ico_plus.svg)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2013-10-15 | 『문화류씨가정보(文化柳氏嘉靖譜)』와 『씨족원류(氏族源流)』를 참고하여 본관, 부, 처부를 수정하였습니다. |
2013-10-15 | 『중종실록』 82권, 중종 31년(1536) 7월 27일 기사와 자 김응개(金應愷)와 김득개(金得愷)의 사마방목을 참고하여 관직을 추가하고 수정하였습니다. |
2019-10-30 |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