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대년 영조(英祖) 39
시험일 1763년 10월 01일
합격자발표일 1763년 10월 13일
시험종류 증광시(增廣試)
방목정보 방목명 : 계미증광사마방목(癸未增廣司馬榜目)
표제명 : 癸未增廣司馬榜目
권수제 : 癸未增廣司馬榜目
시험장소1 예조(禮曹)
1소 시험관 대제학(大提學) 이정보(李鼎輔) 병술오월이십팔일■(丙戌五月二十八日■) 관지일품 이조판서 입기사(官止一品吏曹判書入耆社)
홍문관부제학(弘文館副提學) 조명정(趙明鼎) 병술자헌재장전형(丙戌資憲再掌銓衡)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 심이지(沈履之)
사과(司果) 이연(李溎) 무자5월 홍록견발어도당록(戊子五月弘錄見拔於都堂錄) 신묘가선(辛卯嘉善)
김재순(金載順) 기묘승지제수(己卯承旨除授)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임희효(任希孝)
시험장소2 성균관(成均館)
2소 시험관 이조판서(吏曹判書) 윤급(尹汲) 입기사(入耆社) 무자5월■(戊子五月■) 일품(一品) 이판겸대제학(吏判兼大提學)
호조참판(戶曹參判) 구윤옥(具允鈺) 경인자헌(庚寅資憲)
예조참의(禮曹參議) 윤학동(尹學東) 신묘■(辛卯■)
사과(司果) 이재협(李在協) 무자당상(戊子堂上) 경인가선(庚寅嘉善)
임희효(任希孝) 정해2월■(丁亥二月■) 정언(正言)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최명옥(崔鳴玉)
생원장원 장원급제 : 김성환(金星煥)
합격인원 : 100명
진사장원 장원급제 : 한광부(韓光溥)
합격인원 : 100명
시험실시이유 증광시이다.
특이사항 방목 말미에는 ‘종장발거(終場拔去)’, ‘초장발거(初場拔去)’ 명단이 있고, 이어서 ‘초시(初試)의 시관, 시일, 시제와 ’회시(會試)‘의 시일, 시제, 경외입격수를 적은 후, ’양시(兩試)‘, ’연벽(聯璧)‘ 명단을 하단에 기재하였다. 특히 ’출방(出榜) 초5일‘ 항목에는 경복궁에 친임하여 면시(面試)하였고, 부(賦)와 시(詩)의 어제(御製)를 내렸다고 하였다.
출전방목명 「계미증광사마방목(癸未增廣司馬榜目)」(『조선시대 생진시방목(朝鮮時代生進試榜目)』 (『조선시대 생진시방목(朝鮮時代生進試榜目)』 16 국학자료원, 2008.)
참고문헌 『조선시대 생진시방목(朝鮮時代生進試榜目)』 16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