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대년 영조(英祖) 11
시험일 1735년 04월 16일
합격자발표일 1735년 04월 26일
시험종류 증광시(增廣試)
방목정보 방목명 : 을묘증광사마방목(乙卯增廣司馬榜目)
표제명 : 乙卯增廣司馬榜目
권수제 : 乙卯增廣司馬榜目
시험장소1 예조(禮曹)
1소 시험관 행지중추부사(行知中樞府事) 신사철(申思喆)
병조판서(兵曹判書) 조상경(趙尙絅)
대사성(大司成) 정우량(鄭羽良)
부사과(副司果) 조한위(趙漢緯)
종부시정(宗簿寺正) 남태경(南泰慶)
감찰(監察) 신이복(愼爾復)
시험장소2 성균관(成均館)
2소 시험관 좌참찬(左參贊) 정형익(鄭亨益)
행부제학(行副提學) 윤혜교(尹惠敎)
행사과(行司果) 조명신(趙命臣)
행사과(行司果) 서명연(徐命淵)
사성(司成) 박필기(朴弼琦)
감찰(監察) 송윤함(宋胤涵)
생원장원 장원급제 : 박만원(朴萬源)
합격인원 : 100명
진사장원 장원급제 : 임업(任𤩶)
합격인원 : 100명
시험실시이유 증광시이다.
영조실록에는 증광 감시(增廣監試)의 복시(覆試)에서 생원 박만원(朴萬源)과 진사 임박(任璞) 등 각각 100인을 시취(試取)하였다고 나온다.
특이사항 서두에는 ‘예조칭경절목(禮曹稱慶節目)’과 시험일자가 기재되어 있다.
방목 말미에는 ‘방중색장(榜中色掌)’, ‘양시(兩試)’, ‘연벽(聯璧)’ 명단이 있고, 이어서 ‘초시(初試)’의 ‘시관(試官)’과 ‘서제(書題)’, ‘회시(會試)’의 ‘서제(書題)’, ‘경외입격수(京外入格數)’를 차례로 기재하였고, 끝행 하단에는 ‘동년중추예각개간(同年仲秋藝閣開刊)’이라 하였다.
출전방목명 『을묘증광사마방목(乙卯增廣司馬榜目)』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B13LB-23])
참고문헌 『조선시대 생진시방목(朝鮮時代生進試榜目)』 14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