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대년 순조(純祖) 22
시험일 1822년 03월 02일 (윤달)
합격자발표일 1822년 03월 15일 (윤달)
시험종류 식년시(式年試)
방목정보 방목명 : 숭정4임오식사마방목(崇禎四壬午式司馬榜目)
표제명 : 崇禎四壬午式司馬榜目
권수제 : 崇禎四壬午式司馬榜目
시험장소1 예조(禮曹)
1소 시험관 행상호군(行上護軍) 한치응(韓致應)
행호군(行護軍) 조진화(趙晋和)
행부호군(行副護軍) 박태수(朴台壽)
부사직(副司直) 이언순(李彦淳)
사서(司書) 엄도(嚴燾)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민조영(閔祖榮)
시험장소2 성균관(成均館)
2소 시험관 행대호군(行大護軍) 이헌기(李憲琦)
동중추(同中樞) 서능보(徐能輔)
동부승지(同副承旨) 이형하(李瀅夏)
부사직(副司直) 김난순(金蘭淳)
사간(司諫) 임준상(任俊常)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최치헌(崔致憲)
생원장원 장원급제 : 김종휴(金宗烋)
합격인원 : 100명
진사장원 장원급제 : 김좌현(金佐鉉)
합격인원 : 100명
시험실시이유 식년시이다.
특이사항 방목 말미에는 ‘부록(附錄)’이라 하고, ‘방중색장(榜中色掌), 은문색장(恩門色掌), 수권색장(收卷色掌), 공포색장(貢布色掌), 제마수(齊馬首)는 이상인방회불성병궐언(以上因榜會不成並闕焉)’이라 하여 각 명단이 빠져있고, ‘양시(兩試)’와 ‘연벽(聯璧)’의 명단만 기재되어 있다. 이어서 ‘초시임오년(初試壬午年)’의 시일, 시관, 시제, 장원, 각도시관 및 장원, 승보와 합제의 명단과 ‘회시임오년(會試壬午年)’의 시일, ‘시제(試題)’, ‘생진경외입격수(生進京外入格數)’를 차례로 기재하였다. 마지막 하단에는 ‘을유계춘예각활인(乙酉季春藝閣活印)’이라 하였다.
출전방목명 『숭정4임오식사마방목(崇禎四壬午式司馬榜目)』 (국립중앙도서관 [古朝26-29-84])
참고문헌 『조선시대 생진시방목(朝鮮時代生進試榜目)』 20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