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대년 현종(顯宗) 7
시험일 1666년 01월 26일
합격자발표일 1666년 02월 11일
시험종류 식년시(式年試)
방목정보 방목명 : 병오식년사마방목(丙午式年司馬榜目)
표제명 : 丙午式年司馬榜目
권수제 : 丙午式年司馬榜目
시험장소1 한성부(漢城府)
1소 시험관 이조판서(吏曹判書) 김수항(金壽恒) 겸양관대제학(兼兩館大提學)
형조참판(刑曹參判) 박세모(朴世模)
홍문관응교(弘文館應敎) 이민서(李敏敍)
성균관직강(成均館直講) 경최(慶㝡)
성균관직강(成均館直講) 홍주국(洪柱國)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김광진(金光瑨)
1소 시험문제 부(賦) 시득강산조(詩得江山助)

시(詩) 백운하인허갱재(압재)(白雲何人許更裁(押裁))

의(疑) 자왈학이불염회인불권하유어아재우왈위지불염회인불권가위운이이의성인지언역유전후지부동하여(子曰學而不厭誨人不倦何有於我哉又曰爲之不厭誨人不倦可謂云爾而矣聖人之言亦有前後之不同何歟)

예의(禮義) 군자부진리이유민(君子不盡利以遺民)
시험장소2 성균관(成均館)
2소 시험관 예조판서(禮曹判書) 박장원(朴長遠)
행홍문관부제학(行弘文館副提學) 조복양(趙復陽) 겸예문관제학(兼藝文館提學)
병조정랑(兵曹正郞) 이익상(李翊相)
병조좌랑(兵曹佐郞) 민종도(閔宗道)
홍문관수찬(弘文館修撰) 박세당(朴世堂)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노열지(盧說之)
2소 시험문제 부(賦) 상읍수장인(相泣授將印)

시(詩) 귀로과현도(압도)(歸路過玄度(押度))

의(疑) 맹자왈어숭오득견왕퇴이유거지구어제비아지야우왈여삼숙이출주어여심유이위속왕여개제칙필반여견왕지초이유거지칙거제지시유이삼숙위속지유반여지망하여(孟子曰於崇吾得見王退而有去志久於齊非我志也又曰予三宿而出晝於予心猶以爲速王如改諸則必反予見王之初已有去志則去齊之時猶以三宿爲速至有反予之望何歟)

서의(書義) 목탁순우로(木鐸徇于路)
생원장원 장원급제 : 임영(林泳)
합격인원 : 100명
진사장원 장원급제 : 최석만(崔錫萬)
합격인원 : 100명
시험실시이유 식년시이다.
특이사항 방목 말미에는 ‘방중색장(榜中色掌)’, ‘제마수(齊馬首)’, ‘양시(兩試)’, ‘연벽(聯璧)’ 명단이 있고, 이어서 ‘일소제(一所題)’, ‘이소제(二所題)’, 시험일자가 기재되어 있다.
출전방목명 『병오식년사마방목(丙午式年司馬榜目)』 (국립중앙도서관 [古朝26-29-16])
참고문헌 『조선시대 생진시방목(朝鮮時代生進試榜目)』 8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