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대년 인조(仁祖) 1
시험일 1623년 08월 12일
합격자발표일 1623년 08월 12일
시험종류 개시(改試)
방목정보 방목명 : 계해1년개시방(癸亥一年改試榜)
표제명 : 國朝文科榜目
권수제 : 國朝文科榜目卷之十
시험문제 책문(策問) 왕백(王伯)
문과장원 장원급제 : 채유후(蔡裕後)
합격인원 : 24명
시험실시이유 개시(改試)이다. 무오(戊午)년 식년시(式年試)에는 전시(殿試)를 행하지 못하였고 신유(辛酉)년 별시(別試)는 합격자 발표를 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해에 와서 제 실력으로 합격한 사람을 택하여 재시험을 치룬 시험이다.
특이사항 규백육본과 규귀중본에는 무오 식년시 때에는 칠대문(七大文)의 기롱(譏弄)으로 전시를 행하지 못하였고 신유 별시에는 오류지요(五柳之謠)로 합격자 발표를 하지 못한 관계로 이해 8월 12일 두 번의 과거시험에서 제 실력으로 합격했던 자들에게 재시험을 치르게 하고, 시험은 사서(四書)와 일경(一經)을 강(講)하여 성적이 조(粗) 이상인 자와 제책(制策)으로 전시의 좌차(坐次)를 정하였다고 하면서, 시험 문제를 밝혔다.
국중도본과 장서각본에는 무오 식년시와 신유 별시에 대한 물의가 들끓었으나 지금까지 시행하지 못하다가 예조가 아뢰어 청함에 대신들에게 의논하게 하여, 두 번의 시험을 합하여 한 번에 시험을 보되, 무오 식년시는 사서(四書)와 일경(一經)의 성적이 조(粗) 이상인 자와 신유 별시는 한 번의 책문을 시험보되 성적이 삼하(三下) 이상인 자로 하여 정원수에 구애받지 않고 취하도록 하여 회시(會試)로 삼고 전시(殿試)의 좌차(坐次)를 정하였다고 하였으며, 무과도 이 시험에 대한 대거로 시행하였다고 하면서 시험 문제도 밝혔다. 장서각본에는 책문의 성적이 이하(二下) 이상으로 나온다.
출전방목명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규장각한국학연구원 [奎 106])
참고문헌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 106], 太學社, 1984.)-[규백육본]
『국조방목(國朝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貴 11655], 國會圖書館, 1971.)-[규귀중본]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국중도본]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장서각본]
『인조실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