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오류신고 인물통계자료
 
- 아하! 감탄사가 절로 나오는 재미있는 통계자료
 
조선시대 과거 시험 정리
조회수 : 4498    등록일 : 2022-05-02   

▣ 조선시대 과거 시험 정리

과거

분류

시기

구분

종류

회수

선발인원

비고

대과(大科)

문과(文科)

정기시

식년시

식년시(式年試)

163

6,030

 子···酉年 3년마다 실시

중시

중시(重試)

52

381

 丙·丁年 10년마다 실시

비정기시

별시

증광시(增廣試)

67

2,713

 세조·성종·인종 즉위 증광시 없음

알성시(謁聖試)

97

778

 춘·추에 성균관 문묘에 제사

별시(別試)

126

1,987

 

외방별시(外方別試)

60

353

 지방 행차

정시(庭試)

189

2,473

 

친시(親試)

11

115

 친림(親臨)

춘당대시(春塘臺試)

20

133

 창경궁(昌慶宮) 춘당대

기로과(耆老科)

9

42

 영조(5철종(1고종(3)

별시

현량과(賢良科)

1

28

 중종 14(조광조 건의)

개시(改試)

1

24

 인조 1

충량과(忠良科)

1

3

 영조 40

식희과(飾喜科)

1

3

 영조 45

구현과(求賢科)

1

5

 영조 51

별시

(중시)

발영시(拔英試)

1

40

 세조 12

등준시(登俊試)

2

27

 세조 12·영조 50

진현시(進賢試)

1

4

 성종 13

탁영시(擢英試)

1

12

 중종 33

합계

 

 

804

15,151

 

무과(武科)

 

 

상동(上同)

800

 

 

소과(小科)

=사마시(司馬試)

생원시(生員試)

정기시

식년시(式年試)

163

 

 

비정기시

증광시(增廣試)

67

 

 

진사시(進士試)

정기시

식년시(式年試)

148

 

 태조(1)·태종(6)·세종(7)·문종(1),

15회 진사 미선발

비정기시

증광시(增廣試)

64

 

 태종·세종·문종, 3회 진사 미선발

잡과(雜科)

역과(譯科)

정기시

식년시(式年試)

163

 

 

비정기시

증광시(增廣試)

67

 

 

의과(醫科)

정기시

식년시(式年試)

163

 

 

비정기시

증광시(增廣試)

67

 

 

음양과(陰陽科)

정기시

식년시(式年試)

163

 

 

비정기시

증광시(增廣試)

67

 

 

율과(律科)

정기시

식년시(式年試)

163

 

 

비정기시

증광시(增廣試)

67

 

 

* 비정기시는 모두 별시이다. 현량과, 개시, 충량과, 식희과, 구현과는 어떤 목적으로 열렸는데, 조선 과거사에서 오직 한 번만 실시되었다.

* 발영시, 등준시, 진현시, 탁영시는 독특한 이름으로 불리는데, 모두 중시와 똑같이 과거 급제자 출신들이 시험에 참여하였다. , 중시의 일종이다.

 
이전글   생원‧진사 장원하고도 문과급제 못한 227명
다음글   같은 해에 실시된 식년시와 증광시(21회)